시황/테마 전망 및 분석
-
■ 코로나관련주 분야별 정리용시황/테마 전망 및 분석 2024. 8. 19. 14:00
■ 코로나관련주 분야별 정리용 (정리 by 고잉) -진단키트 : 수젠텍, 휴마시스, 랩지노믹스, 엑세스바이오, 씨젠, 에스디바이오센서, 오상자이엘, 피씨엘, 셀레믹스, 진매트릭스 등 -백신 : 셀리드, SK바이오사이언스, 유바이오로직스, 아이진, 에스티팜 -치료제 : 신풍제약 외는 생략 -마스크 : 웰크론, 케이엠, 깨끗한나라, 모나리자 -음압병상 : GH신소재, 우정바이오 -호흡기 : 멕아이씨에스, 메디아나, 씨유메디칼 -알콜 : MH에탄올, 창애에탄올, 한국알콜 -살균 : 서린바이오 -감기약 : 대원제약(콜대원), 일동제약(테라플루), 동아제약(판피린), 삼일제약(부루펜), -교육 : 메가엠디, YBM넷, ne능률, -원격진료 : 유비케어, 인성정보, 비트컴퓨터
-
1.14테마 전망시황/테마 전망 및 분석 2023. 2. 14. 00:18
● 1.14 테마 : ai(챗 gpt) ● 국내 증시 - 2,430~2,500pt 사이의 박스권 유지, 미국 등 대외 변수에 의해 박스권 돌파나 하향 이탈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음 - 수급의 주체인 외국인 매매동향을 예의 주시할 것 ● 환율 : 1,279.00원 마감, 달러 약세 이후 미국 경제지표 혼조 및 인플레 우려가 재 부각되며 달러와 강세 진행 ● 금리 : 국채 3년물 3.6590 변동성 약해짐 ● 해외지수 : 나스닥 지수는 10,207pt를 저점으로 12,269pt까지 상승한 이후 경제지표의 불확실성으로 11,718pt까지 조정 ● 유가 : WTI 79.72로 70~80사이의 박스권 상단에 위치, 중국 리오프닝, 러시아 전쟁 등으로 상승 압력이 높아 지는 중 =====================..
-
1.4 테마 전망시황/테마 전망 및 분석 2023. 1. 4. 00:01
✅1월 [5~8] CES2023 [5] 카카오게임즈 에버울 출시 [6 ] 12월 고용보고서 발표(일자리 및 실업률) [11] 카카오게임즈 아키에이지워 사전예약 [9~12]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 [13]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16~20]세계경제포럼 [21~27] 중국 춘절 휴일 [월중] WB 세계경제전망 ● 1.4 테마 : K컨텐츠, 로봇, 게임, 2차전지, 보복소비 ● 국내 증시 - 장중 코스피는 2200pt를 하향 돌파하기도 했으나, V자 반등을 나타내며 약 보합으로 마감 - 신용물량과 매물을 소화하며 단기 저점은 형성한 것으로 보임 ● 환율 : 1,277.00원 마감 증시의 영향이 약해짐 ● 금리 : 국채 3년물 3.6590 변동성 약해짐 ● 해외지수 : 휴장 ● 유가 : WTI 80.26으로..
-
11.10일 테마 및 11일 테마 전망시황/테마 전망 및 분석 2022. 11. 10. 22:09
● 국내장은 오늘 네옴시티의 날이었음. 미국 중간선거의 공화당이 예상외로 부진하고, 미증시 하락 영향과 단기 상승의 영향으로 증시는 하락세가 나타남 단기 급등에 따른 조정이라는 느낌이 강함(울고 싶은데 뺨때린 격인 조정임) ● 오늘 미국 CPI지표 결과에 따라 미증시 내일의 국내증시도 여향을 받를 전망으로 미국 CPI 예상치 7.9% 인데. 앞자리 7자면 증시 호재, 8자면 악재로 봐야 할 듯 ● 러시아의 헤르손 지역 철수 이야기가 있고, 우크라이나의 헤르손 지역 점유시 협상 가능성 증가 ● 최근 강세 기조에서 다시 소폭 약세 전환 환율의 강세가 지속될 경우 국내증시에는 긍정적인 영향 ● 전반적인 조정장에서 뚜렷한 테마가 없이 네옴시티 테마의 강세가 나타남 시장의 주도주가 부재한 상황에서 자금의 흐름이 ..
-
11. 9일 테마 및 10일 전망시황/테마 전망 및 분석 2022. 11. 9. 21:21
● 최근 일이 바빠서 테마와 전망을 쓰지 못했는데, 그 사이 시장은 바닥에서 반등이 나왔으며, 대 내외 증시 환경이 변화하였네요 미국의 인플레이션 지표는 여전히 높으나 고점에서 둔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환율은 고점을 찍고 내려가고 9월 무역수지도 흑자로 돌아서 원화 강세로 가는 기조를 형성하고 있음 미국의 중간선거는 하원을 공화당이 장악하여, 미국의 추가적인 우크라이나 전쟁 지원 가능성이 낮아져 전쟁 조기 종료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음 국내 시장도 코스닥 보다는 코스피 위주의 상승세가 나타나고 있으며, 기존 낙폭이 과대했던 우량주 위주의 상승세가 나타나고 있다. 기존 우량주 위주의 상승세가 주춤해질 때 코스닥 테마주의 상승세가 다시 나타날 것으로 보임 ● 11월, 12월은 증시가 하방보다..
-
11월 1일 시황 및 2일 전망시황/테마 전망 및 분석 2022. 11. 1. 23:01
● 1일 테마 - 대형주 위주의 상승, 전반적인 지수상승에 맞춰 대부분 테마주의 강세가 나타남 원전(초강세), 삼성전자, 재건, 2차 전지, 화학, 건설, 시멘트, 메타버스, 로봇 ● 2일 테마 전망 - 원전, 재건, 네움시티, 2차 전전지의 강세 속에 테마의 순환매도 대비해야 할 듯 ● 일정 - 11.3 FOMC 발표 - 11.4 미국 고용지표 - 11.10 10월 미국 CPI - 12.13 11월 미국 CPI - 12.15 FOMC 발표 ● 국내 증시 - 코스피 상승 외인 4,924억원, 기관 1,943억원 매수, 코스닥 상승 외인 599억원 매수 => 대형주 위주의 상승세, 코스피 지수 2,400pt를 향해 가는 중 - 11월 FOMC회의 75bp 인상 기정사실화, 12월 50bp인상, 금리 고점 ..
-
26일 테마 및 27일 테마 전망시황/테마 전망 및 분석 2022. 10. 26. 23:15
● 26일 테마 - 외국인 매수세에 의해 대형주 강세 ● 27일 테마 전망 - 네움시티, 2차전지, 신재생에너지 ● 국내 증시 - 코스피 상승 외인 6,020억원 매수, 코스닥 하락 개인 803억 매수 => 대형주 위주의 상승세, 중소형주는 약세 - 강원도 채권 디폴트 이슈가 전반적인 채권시장 투자 심리를 위축 시켜 주식시장에도 영향을 미침 일요일 비상 경제금융회의를 통해 금융시장 초치 나옴 50조 규모 시장 안정화 정책 - 강원도는 1월까지 전액 상환한다는 보도(채권 시장에서 상환을 안 할 수 밖에 없음 - 신뢰의 문제) - 일본정부의 환율 개입으로 엔화 약세 진정 => 코스피, 코스닥 지수는 단기 바닥권 형성 ● 환율 : 12.00원 하락, 1,421.00원에 마감, 위안화 강세 영향으로 강세 원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