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월 1일 시황 및 2일 전망시황/테마 전망 및 분석 2022. 11. 1. 23:01728x90반응형
● 1일 테마
- 대형주 위주의 상승, 전반적인 지수상승에 맞춰 대부분 테마주의 강세가 나타남
원전(초강세), 삼성전자, 재건, 2차 전지, 화학, 건설, 시멘트, 메타버스, 로봇
● 2일 테마 전망
- 원전, 재건, 네움시티, 2차 전전지의 강세 속에 테마의 순환매도 대비해야 할 듯
● 일정
- 11.3 FOMC 발표
- 11.4 미국 고용지표
- 11.10 10월 미국 CPI
- 12.13 11월 미국 CPI
- 12.15 FOMC 발표
● 국내 증시
- 코스피 상승 외인 4,924억원, 기관 1,943억원 매수, 코스닥 상승 외인 599억원 매수
=> 대형주 위주의 상승세, 코스피 지수 2,400pt를 향해 가는 중
- 11월 FOMC회의 75bp 인상 기정사실화, 12월 50bp인상, 금리 고점 인식, 피봇 기대감 증가, 연준 속도 조절론 등
- 미국 주택가격 등에서 인플레이션 완화 조짐이 보이며, 인플레 정점론 증가
- 애플 등 미국 기업의 실적이 나름 선방하며 시장 분위기 조성
- 2200pt 까지 빠졌던 지수에 밸류상 매력적 주식 증가로 저점 매수 증가
- 마이클 윌슨 베어마켓 렐리가능성(저점 잘 잡는 사람)
=> 코스피, 코스닥 지수는 단기 바닥권 형성 이후 코스피는 2,400pt 돌파를 향해 감
● 환율 : 16.00원 하락, 1,415.00원에 마감원화 약세(상승세) 유지중, 추가적인 약세(상승) 가능성 낮음
달러 강세 지속중, 차트상 쌍봉 형성 이후 하락(강세) 추세 가능성 있음
외국인의 주식, 채권 매도자금의 유출이 어느 정도 마무리 된 상태(한은총재)에서
특이 사항 발생하지 않는다면 추가적인 원화약세는 제한적일 것 => 이제는 강세로
1 달러 약세 요인
- 킹달러 지속에 따른 부담감으로 추가 강세 가능성 약화- 영국 리시 수낵 총리, 파운드화 강세 가능성 있음
- 중국 증시 부양 준비, 인민은행 99.5조원 신규대출 => 위안화 강세 요인
- 연준 인사들 금리인상 속도 조절론
2 달러 강세 요인- 김진태가 쏘아올린 공으로 신용시장 불안이 환율에도 영향을 미쳐 원화 약세 진행
- 시진핑 3연임에 의한 중화권 정치 불확실성 지정 국면
- 바이든 미경제 매우 견고, 강달러 걱정 안한다(11월 선거까지 강달러 유지 전망)
- 연준 인플레 대은 스텐스 유지 지속 => 11월 "자이언트 스템" 가능성 확실시 및 지속 가능성- 연준 4.5% 위에서 금리 인상 중단 => 급격한 경기 둔화 위험 언급● 금리
- 미국 11월 75bp, 12월 50bp 인상에 무게 2023년 1분기 금리 고점 가능성 증가
- 국내 금리도 추가적 상승 가능성 있으나, 상승속도는 둔화- 미국 기준금리 금리 4.5 ~4.75% 선에서 금리 인상 중단 =>
내년 말까지 금리 인하 없을 수도금리 고점 인식 증가- 11월 미국 연준 자이언트 스텝(75bp 인상) 확실시 => 이제는 당연시 생각 시장 영향 적음, 파월 연설 중요
- 연준 인사들 금리인상 속도조절론 이야기 나옴(금리에 대한 부담감이 있어 향후 금리 인상 속도 조절 가능성 있음)
=> 내년 초 금리의 정점 가능성이 높아, 내년 1분기말이나, 2분기 초가투자 시점
● 해외지수- 나스닥 11,000pt선 지지 여부가 중요해짐
● 유가
- WTI 86.53달러/배럴 : 추가적인 유가 상승은 어려워 보임(우크라이나 전쟁 등 돌발변수 제외 시)
- 19일 미국 전략비축유 추가 방출 발표 : 11월 중간선거 전까지는 유가 추가 상승 가능성 약화
=> 장기적으로 유가의 하락이 나타날 것으로 보이며, 유가의 하락이 나타나면 인플레도 하락세를 나타낼 전망
● 미국 11월 8일 중간선거
- 미국 민주당 지지율 열세
- 중간선거 이후 미중관계, 강달러 약세 전망- 공화당의 하원 장악 확률 70%, 민주당의 상원 장악 확률 67% (여론조사 데이터 분석 기관 FiveThirtyEight 조사 결과)
- 선거 후 3개월 평균 수익률 6%, 6개월 평균 수익률 11%( 시장 호조는 대부분 불확실성의 해소에 기인)
- 공화당 장악, 민주당 장악, 어느 쪽이든 장악, 공화당-민주당으로 분열 각 4가지 경우의 수익률은 유사한 수준
(공화당 장악 기간의 저조한 평균 수익률은 대공황이 포함되었기 때문)
- 의외로 중간선거라는 이벤트는 어느 당이 이기든지 크게 상관없고 선거의 종료 자체가 호재라는 것- 결국 정치보다는 인플레이션, FED의 대응, 경기 침체 위험 등이 시장의 향방을 가를 것이라고 전망
정치적 노이즈는 무시하고 경제에 집중할 것
- 일단 다음 달 FOMC가 열리기 전까지 매크로 이슈가 소강인 상황에서, 시장의 관심은 어닝 시즌에 쏠림
- 낙태권 보호권(민주당) => 현대 약품
=> 선거 이후 우크라이나 전쟁 전환점 될 가능성 있음 -> 전쟁 진정 -> 인플레 우려 완화
● 3분기 실적
●증시안정 펀드 재가동 => 2200pt 하향시 작동 가능성
- 공매도 금지는 검토단계 => 2000pt 하향시 작동 가능성=> 공매도 금지 시 적극적인 매수 시점● 총선 관련
=> 김동연: PN풍년, SG글로벌
=> 한동훈 : 오파스넷 ,부방, 노을
● 미, 중 분쟁- 시진핑 3연임 관련 이슈 지속 나올 듯
- 희토류(중국) 무기화
=> 동국알앤에스, 유니온, 유니온머티, 쎄노텍, 티플랙스
- 미국과 반도체 분쟁 지속(중국의 입장에서는 놓을 수 없는 사업임, 자립의 문제)
- 시진핑 3연임 : 대만 관계 악화 가능성 있음(연임 성공 후, 내부적 안정 추구 가능성 있음)
시진핑의 대만 무력사용, 절대 포기 안한다는 연설
- 미국의 화웨이 ZTE 통신장비 미국내 판매 전면 금지 계획
● 우크라이나, 러시아 전쟁- 러시아군 우크라 "철수 작전" 시작될 것 - 로이터 긴급뉴스
=> 실제로 철수는 안했으나, 철수 관련 뉴스 나오는 것은 호재로 보임(단 핵 사용 가능성은 고려해야 함)
- 핵 사용 위험 상존 =>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아짐
- 우크라에 대규모 미사일 공격 없을 것 => 푸틴- 푸틴 손상 안된 가스관으로 공급할 수 있어
- 푸틴과 대와여지 남아 있음
- 젤렌스키 크롬반도까지 반드시 탈환
- 러시아 핵 훈현 실시, 미 "심각한 실수"
●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 미, 우크라 재건 합동 TF 구성 - 전후 재건 실무 몬의 진행
- 10.25 베를린 국제회의에서 재건 논의 본격화
마셜 플랜보다 크다 673조
- 전쟁 소강상태나 휴전 시 강세 예상
- 우크라에 대규모 미사일 공격 없을 것
- 미국 러시아 협상 일부 관심 징후
=> 재건(10/25) : 대모, 유신, 현대에버다임, 한국종합기술
● 카카오 데이터센터 화재 : 일시적 테마, 지속성은 의문?
- 대통령실 “‘카카오 사태’ 계기 안보실에 ‘사이버안보 TF’ 구성”
- 켐트로스, 카톡 대란 원인 리튬배터리 열폭주 방지..배터리 화재 방지 첨가제 특허 부각
=> 서버: 데이타솔루션, 모아데이타, 콤텍시스템
=> 메신저 : 키네마스터, 줌인터넷
=> 카카오 : 카카오, 카카오게임즈, 카카오뱅크, 카카오페이● 데이터이중화
- 부가통신사업자도 데이터 이중화 추진…입법 전 행정권고 조치
=> 데이터이중화: 인성정보
=> 데이터센터화재: 데이타솔루션, 모아데이타, 콤텍시스템, 오파스넷, 줌인터넷
● 애플페이 12월 : 단기적 관점으로 애플페이 실시전이 고점 가능성
- 현대카드 약관 유출=> 애플페이(11/30) : 한국정보통신, 이루온, 에이텍티앤, 에이텍, kg이니시스
- 애플 폴더블 아이패드 만든다, 아이폰,중국산 낸드 탑재 안한다
=> 덕우전자, 하이비젼시스, 비에이치, 자화전자, 뉴프렉스● 삼성전장: 오디텍, 상신이디피, 삼진엘앤디, 나래나노텍
● 식량 테마
- 러, 흑해 식량 수출 관련 잡음- 푸틴 러시아 흑해 곡물협정 탈퇴한적 없음 - 드론 공격에 잠시 중단
=> 식량(11월) : 한일사료, 미래생명자, 대주산업, 샘표, 사조동아원, 한탑, 케이씨피드, 팜스토리, 고려산업
● 북한- 북 7차 핵실럼 가시화
=> 북한 : 스페코, 빅텍, 한일단조- 심야 동,서해로 25발 포격
● 로봇 관련
- 로봇 테마 소강 상태 진입- 로봇 ETF 4분기 출시
=> 로봇(11/1) : 해성티피씨, 유일로보틱스,레인보우로보틱스,로보로보, 삼성스펙 4호● 네움시티
- 사우디 투자부 장관 한국 온다
- 원희룡 내달초 사우디행 => 내움시티 수주전 나선다(4박 6일 방문)-11.2일
- 원희룡 “해외수주위해 민관 한팀으로 뛰겠다…11월 사우디 네옴시티 첫 출정”
- 11월 15일 G20 회의 가능성
=> 네옴시티 : 한미글로벌, 유신, 희림, 다스코, 세아베스틸지주, 세아특수강
=> UAM : 베셀, 네온테크, 퍼스텍, 기산텔레콤
● 원전
- 체코, 폴란드 , 사우디- 원전 수주 재시동…폴란드 "본계약 가능성 100%"
한수원 사업설명회
- 12조 사우디 원전 수주
=> 한전기술, 한신기계, 보성파워, 일진파워, 지투파워, 에너토크
● 이차전지
- 현재 가장 강한 테마
미래나노텍, 원익피앤이, 금양 등
이슈 있으면 거의 상한가 수준 상승
- 포드가 포스코케미칼에 양극재 공식 요청- 포스코 내 '리튬 최고권위자' 퇴직 후 수산화리튬 회사 창업...경쟁관계 불가피
- 삼아알미늄, 2차전지 알루미늄 파우치 필름 국산화 독점공급…대체 불가 소재기업
- 나인테크, 스텔란티스 북미 배터리 공장 추가 건설..LG엔솔 2차전지 장비 독점 납품 부각
- 이엔플러스 : 이차전지 각형 배터리 개발
=> 에코프로,LG에너지솔루션 에코프로비엠, 에코프로에이치엔, 엘앤에프,포스코케미칼,코스모신소재,미래나노텍
=> 리튬 : 금양(11월), 코리아에스이, 미래나노텍, 다이나믹디자인, WI, 이브이첨단소재
=> 2차전지 : 에코프로, 에코프로비엠, 포스코케미, LG엔솔, 엘앤에프
=> 전기자전거 : 알톤스포츠, 삼천리자전거
=> 기타 : 그린케미칼, 미코
● 폐배터리=> 폐배터리 : 성일하이텍, 새빗캠, 코스모화학
● 편의점 비닐 사용금지
- 11월 24일 시행
=> 제지 관련주
● 자율주행
- 인증받은 완전자율주행차,상용화 이전에도 판매 허용
- 모빌아이 26일 상장 => 재료노출 자율주행 조정 가능성
- 에이디테크놀로지, 자율주행칩 설계 5년간 1.4조…'삼성 파운드리 협업 성공사례
- 대장은 모트렉스(실적이 바탕이 되서, 13,000 ~ 18,000원 박스권 가능)
=> 모트렉스,오비고,라닉스,텔레칩스,대성엘텍,,캠시스.모바일어플, 인포뱅크, 현우산업, 엠씨넥스, 대성파인텍
● 메타버스
- 2023년 애플 메타버스 xr 기기
- 삼성, 애플 ar, vr글라스 출시 내년 초- 게임 플랫폼 로블록스 9월 이용자 23% 증가…주가 급등
=> AR(23) : 선익시스템, 덕우전자, LG이노텍, 비에이치, 덕산네오룩스, 이녹스첨단
=> VFX : 덱스터, 자이언트스텝, 위지웍스튜디오
=> S/W : 맥스트, 엔피
=> 메타, 구글 : 뉴프렉스, 신화인터텍=> 맥스트, 자이언트스텝, 엔피, 스코넥, 포바이포
● 헷지 관련주
- 금리. 품절, 방산, 식량
- 거래소, 샤페론 코스닥 상장 승인…19일 상장
- 中,대만 침공 빨라질수도.블링컨 美국무 이례적 언급
=> 방산 : 현대로템, LIG넥스원, 한화에어로, 한국항공우주, SNT중공업 평화홀딩스,한일단조,빅텍
=> 미중분쟁 : 유니온머티, 동국알앤에스, 유니온, 샘표식품, 신송홀딩, 쎄노텍, 티플랙스, 유니온, 유니온머티
=> 신규주 : 샤페론, 에스비비테크, 오에스피, 이노룰스, 쏘카, 모델솔루션
=> 동전주(품절주) : 양지사, 베트남개발
=> 금리인상 : 제주은행, 푸른저축은행, SCI평가정보, 고려신용정보
=> 아이오딘 : 대정화금, 한창산업, 엠에스씨● 신재생에너지
- 미에서 한국 태양광 인기 폭등
- EU 재생에너지 목표 상향 입법화 예정
- EU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에너지 확대 예정
- 美 IRA로 국내 태양광 반사이익…한국·동남아가 中 빈자리 채웠다
=> 태양광 : 한화솔루션, 현대에너지솔루션, 대명에너지, 에스에너지● 대마
=> 오성첨단소재,애머릿지
● 헬스케어 : 개별 이슈
- 신라젠, 항암제 파이프라인 인수 속도...전임상 결과도 ‘파란불’
=> 신라젠: 신라젠, 엠투엔
=> 코오롱 : 코오롱우, 코오롱, 코오롱생명과학
=> SITC(11/9) : 에스티큐브, 지니너스, 네오이뮨텍
=> 헬스케어 : 솔고바이오, 넥스턴바이오, 엔젠바이오, 나노씨엠에스● 반도체 원자재
- 반도체 원자재 네온 가격 33배 급등.中,우크라이나산 막히자 큰 폭 올려
=> 대성산업, 원익머트리얼, 이오테크닉스, APS홀딩, 풍국주정, 큐에스아이● 원자재
- "후판이 없다"…11월 말 철강 대란설에 떠는 조선업계=> 티타늄: 경동인베스트
=> 철강 : 금강철강, 하이스틸, 문배철강
=> TDI : TKG휴켐스, 한화솔루션
=> 알미늄 : 남선알미늄, 조일알미늄, 삼아알미늄, 피제이메탈● 시간외
● 기타
- 코오롱티슈진 : 거래재개, 신라젠 흐름 참조
- 휴마시스 : 지분 경쟁, 지속 관심 필요
=> 대주주 +특주관계인 지분 7.5% vs 소액주주 4인 5.4%
- 티에이치엔, 세계 최고 성능 투명스마트 복합필름 상용화 제품 개발 진행 소식
- usb-c 타입 : 신화콘텍
=> 가덕도 신공항 : 삼보산업, 덕신하우징, 영화금속, 한국종합기술, 부산산업, 성광벤드
=> BQ.1 변이 코로나 재유행 : 휴마시스, 유바이오로지기, 수젠텍, 랩지노믹, EDGC, 켐온, 국전약품,
한국비엔씨, 대원제약, 대화제약, 일동제약
=> 오리 AI : 이글벳, 중앙백신, 파루, 체시스, 우진비앤지
=> 넷플렉스 : 스튜디오드래곤, CJ ENM, 콘텐트리중앙, 덱스터, 위지윅스튜, 초록뱀미디
=> 지배구조 : 휴마시스, YTN, iMBC, 휴마시스, 화천기계, 고려아연, 영풍정밀, 에스엠
=> 게임 : 네오위즈, 데브시스터즈=> 오디텍 (24.29%) : 반도체주, 시총600억대, 광센서모듈사업, 삼성 전장관련
- 데이터센터: 모아데이타
- 애플페이: 한국정보통신
- 보잉 CEO 방한,현대차/한화와 UAM/방산 협력 모색
=> 네온테크, 기산텔레, 베셀, 퍼스텍, 하이즈항공, 제이씨현시스
반응형'시황 > 테마 전망 및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10일 테마 및 11일 테마 전망 (0) 2022.11.10 11. 9일 테마 및 10일 전망 (0) 2022.11.09 26일 테마 및 27일 테마 전망 (0) 2022.10.26 10.24 시황 및 25 전망 (0) 2022.10.24 10.21 시황 및 24 전망 (0) 2022.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