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20 시황 및 21 전망시황/테마 전망 및 분석 2022. 10. 20. 23:44728x90반응형
● 20일 강세 테마
=> 원전, 재건, 총선관련주,
● 21일 테마 전망
- 미국 증시가 플러스전환하여 기존의 강세 테마에 관심
=> 원전, 네움시티, 재건, 희토류, 2차전지 테마
● 국내 증시
- 코스피, 코스닥 양시장 모두 하락, 양시장 외인, 기관, 프로그램, 매도, 개인만 매수
- 강원도 채권 디폴트 이슈가 전반적인 채권시장 투자 심리를 위축 시켜 주식시장에도 전이되는 모습
- 증권 업종의 낙폭이 가장 커서 채권관련 손실 제기
=> 정말 말도 안되는 일이 벌어진 것임. 지방 정부 보증인데 지방정부가 디폴트 선언을 한 것으로
한동안 금융시장의 불안요인이 될 수 있음....ㅠㅠ.....아......이런일이....ㅠㅠ
- 강원도는 1월까지 전액 상환한다는 보도(채권 시장에서 상환을 안 할 수 밖에 없음 - 신뢰의 문제)
- 엔화의 역사적 약세도 시장 불안 요인임
- 하지만 장중 중국 코로나 정책 완화 가능성에 낙폭을 축소하기도 함(격리기간 7+3에서 5+2로 단축 가능성)
=> 중국의 코로나 완화 정책 등은 국내의 호재로 작용
- 미국과 국내 성장주의 실적 우려가 투자심리 위축 시킴
=> 당분간 미국과 국내 박스권 움직임 예상
- 코스피는 2,100~2,250pt 사이의 단기 박스권 전망
- 코스닥도 650~700pt 사이 박스권 전망
=> 코스피, 코스닥 지수는 단기 바닥권 형성 중
● 환율 : 5.00원 하락, 1,429.00원에 마감, 단기 횡보 단계 진입, 추가적인 약세(상승) 가능성 낮아 보임원화 약세(상승세) 유지중, 추가적인 약세(상승) 가능성 낮음
달러 강세 지속중, 차트상 쌍봉 형성, 횡보 가능성도 증가
외국인의 주식, 채권 매도자금의 유출이 어느 정도 마무리 된 상태(한은총재)에서
특이 사항 발생하지 않는다면 추가적인 원화약세는 제한적일 것
1 달러 약세 요인
- 킹달러 지속에 따른 부담감으로 추가 강세 가능성 약화- 영국 리츠 총리 사임으로 영국 정치권이 빠르게 진정시(?) 파운드화 강세 가능성 있음
=> 영국 감세안 대부분 철회
- 중국 증시 부양 준비, 인민은행 99.5조원 신규대출 => 위안화 강세 요인
2 달러 강세 요인- 바이든 미경제 매우 견고, 강달러 걱정 안한다(11월 선거까지 강달러 유지 전망)
- 연준 인플레 대은 스텐스 유지 지속 => 11월 "자이언트 스템" 가능성 확실시 및 지속 가능성
- 연준 4.5% 위에서 금리 인상 중단 => 급격한 경기 둔화 위험 언급● 금리
- 미국 2023년 1분기까지 5% 대 인상
- 국내 금리도 추가적 상승 가능성 있으나, 상승속도는 둔화- 미국 기준금리 금리 4.5 ~4.75% 선에서 금리 인상 중단 => 내년 말까지 금리 인하 없을 수도
- 11월 미국 연준 자이언트 스텝(75bp 인상) 확실시
=> 내년 초 금리의 정점 가능성이 높아, 내년 1분기 말이나, 2분기 초가 투자 시점
● 미국 지수미국 - 나스닥 10,000pt를 바닥으로 반등하며, 지지세가 나옴. 10,000~ 11,670pt 횡보
● 유가
- 19일 미국 젅략비축유 추가 방출 발표 : 11월 중간선거 전까지는 유가 추가 상승 가능성 약화
● 미국 11월 중간선거
- 미국 민주당 지지율 열세
- 중간선거 이후 미중관계, 강달러 약세 전망- 공화당의 하원 장악 확률 70%, 민주당의 상원 장악 확률 67% (여론조사 데이터 분석 기관 FiveThirtyEight 조사 결과)
- 선거 후 3개월 평균 수익률 6%, 6개월 평균 수익률 11%( 시장 호조는 대부분 불확실성의 해소에 기인)
- 공화당 장악, 민주당 장악, 어느 쪽이든 장악, 공화당-민주당으로 분열 각 4가지 경우의 수익률은 유사한 수준
(공화당 장악 기간의 저조한 평균 수익률은 대공황이 포함되었기 때문)
- 의외로 중간선거라는 이벤트는 어느 당이 이기든지 크게 상관없고 선거의 종료 자체가 호재라는 것- 결국 정치보다는 인플레이션, FED의 대응, 경기 침체 위험 등이 시장의 향방을 가를 것이라고 전망
정치적 노이즈는 무시하고 경제에 집중할 것
- 일단 다음 달 FOMC가 열리기 전까지 매크로 이슈가 소강인 상황에서, 시장의 관심은 어닝 시즌에 쏠림
- 낙태권 보호권(민주당) => 현대 약품
● 3분기 실적
- 테슬라 10.19. 실적 발표 => 전년보다 양호한 실적이지만, 예상치 하회하여 악재로 작용=> 3분기 매출액 214억5000만달러, 순이익 33억달러, 전년 같은 기간 매출액이 138억달러, 순이익이 16억달러
월스트리트 예상 매출액 219억6000만달러로 5억달러 하회
- 애플, 아마존 11.3일 실적 발표
● 증시안정 펀드 재가동 => 확인필요
- 공매도 금지는 검토단계 => 증시가 하방 안정 단계여서 가능성 낮아 보임=> 공매도 금지 시 적극적인 매수 시점
● 총선 관련
- 한동훈 총선 차출론 띄우는 與
=> 한동훈 : 오파스넷 ,부방, 노을
● 미, 중 분쟁
- 희토류(중국) 무기화=> 동국알앤에스, 유니온, 유니온머티, 쎄노텍, 티플랙스
- 미국과 반도체 분쟁 지속(중국의 입장에서는 놓을 수 없는 사업임, 자립의 문제)
- 시진핑 3연임 : 대만 관계 악화 가능성 있음(연임 성공 후, 내부적 안정 추구 가능성 있음)
시진핑의 대만 무력사용, 절대 포기 안한다는 연설
- 미국의 화웨이 ZTE 통신장비 미국내 판매 전면 금지 계획
● 우크라이나, 러시아 전쟁- 러시아군 우크라 "철수 작전" 시작될 것 - 로이터 긴급뉴스
=> 실제로 철수는 안했으나, 철수 관련 뉴스 나오는 것은 호재로 보임(단 핵 사용 가능성은 고려해야 함)
- 핵 사용 위험 상존 =>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아짐
- 우크라에 대규모 미사일 공격 없을 것 => 푸틴
●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 미, 우크라 재건 합동 TF 구성 - 전후 재건 실무 몬의 진행
- 10.25 베를린 국제회의에서 재건 논의 본격화
마셜 플랜보다 크다 673조
- 전쟁 소강상태나 휴전 시 강세 예상
- 우크라에 대규모 미사일 공격 없을 것
- 미국 러시아 협상 일부 관심 징후
=> 재건(10/25) : 대모, 유신, 현대에버다임, 한국종합기술
● 카카오 데이터센터 화재 : 일시적 테마, 지속성은 의문?
- 대통령실 “‘카카오 사태’ 계기 안보실에 ‘사이버안보 TF’ 구성”
- 켐트로스, 카톡 대란 원인 리튬배터리 열폭주 방지..배터리 화재 방지 첨가제 특허 부각
=> 서버: 데이타솔루션, 모아데이타, 콤텍시스템
=> 메신저 : 키네마스터, 줌인터넷
=> 카카오 : 카카오, 카카오게임즈, 카카오뱅크, 카카오페이● 데이터이중화
- 부가통신사업자도 데이터 이중화 추진…입법 전 행정권고 조치
=> 데이터이중화: 인성정보
=> 데이터센터화재: 데이타솔루션, 모아데이타, 콤텍시스템, 오파스넷, 줌인터넷
● 애플페이 12월 : 단기적 관점으로 애플페이 실시전이 고점 가능성
- 현대카드 약관 유출=> 애플페이(11/30) : 한국정보통신, 이루온, 에이텍티앤, 에이텍, kg이니시스
- 애플 폴더블 아이패드 만든다, 아이폰,중국산 낸드 탑재 안한다
=> 덕우전자, 하이비젼시스, 비에이치, 자화전자, 뉴프렉스
● 식량 테마
- 러, 흑해 식량 수출 관련 잡음=> 식량(11월) : 한일사료, 미래생명자, 대주산업, 샘표, 사조동아원, 한탑, 케이씨피드, 팜스토리, 고려산업
● 북한- 북 7차 핵실럼 가시화
=> 북한 : 스페코, 빅텍, 한일단조- 심야 동,서해로 25발 포격
● 로봇 관련
- 로봇 테마 소강 상태 진입- 로봇 ETF 4분기 출시
=> 로봇(11/1) : 해성티피씨, 유일로보틱스,레인보우로보틱스,로보로보, 삼성스펙 4호● 네움시티
- 원희룡 내달초 사우디행 => 내움시티 수주전 나선다(4박 6일 방문)
- 빈 살만 방한 계획 무산(테마 약세 예정)
- 11월 15일 G20 회의 가능성=> 네옴시티 : 한미글로벌, 유신, 희림, 다스코, 세아베스틸지주, 세아특수강
=> UAM : 베셀, 네온테크, 퍼스텍, 기산텔레콤
● 원전
- 체코, 폴란드 , 사우디- 폴란드 원전 60조 규모 사업자 이번달 발표
한수원 사업설명회
- 12조 사우디 원전 수주
=> 한전기술, 한신기계, 보성파워, 일진파워, 지투파워, 에너토크
● 이차전지
- 현재 가장 강한 테마
미래나노텍, 원익피앤이, 금양 등
이슈 있으면 거의 상한가 수준 상승
- 포드가 포스코케미칼에 양극재 공식 요청- 삼아알미늄, 2차전지 알루미늄 파우치 필름 국산화 독점공급…대체 불가 소재기업
- 나인테크, 스텔란티스 북미 배터리 공장 추가 건설..LG엔솔 2차전지 장비 독점 납품 부각
- 이엔플러스 : 이차전지 각형 배터리 개발
=> 에코프로,LG에너지솔루션 에코프로비엠, 에코프로에이치엔, 엘앤에프,포스코케미칼,코스모신소재,미래나노텍
=> 리튬 : 금양(11월), 코리아에스이, 미래나노텍, 다이나믹디자인, WI, 이브이첨단소재
=> 2차전지 : 에코프로, 에코프로비엠, 포스코케미, LG엔솔, 엘앤에프
=> 전기자전거 : 알톤스포츠, 삼천리자전거
=> 기타 : 그린케미칼, 미코
● 폐배터리
=> 폐배터리 : 성일하이텍, 새빗캠, 코스모화학● 자율주행
- 에이디테크놀로지, 자율주행칩 설계 5년간 1.4조…'삼성 파운드리 협업 성공사례
- 대장은 모트렉스(실적이 바탕이 되서, 13,000 ~ 18,000원 박스권 가능)
=> 모트렉스,오비고,라닉스,텔레칩스,대성엘텍,,캠시스.모바일어플, 인포뱅크, 현우산업, 엠씨넥스, 대성파인텍
● 메타버스
- 2023년 애플 메타버스 xr 기기
- 삼성, 애플 ar, vr글라스 출시 내년 초- 게임 플랫폼 로블록스 9월 이용자 23% 증가…주가 급등
=> AR(23) : 선익시스템, 덕우전자, LG이노텍, 비에이치, 덕산네오룩스, 이녹스첨단
=> VFX : 덱스터, 자이언트스텝, 위지웍스튜디오
=> S/W : 맥스트, 엔피
=> 메타, 구글 : 뉴프렉스, 신화인터텍=> 맥스트, 자이언트스텝, 엔피, 스코넥, 포바이포
● 헷지 관련주
- 금리. 품절, 방산, 식량
- 거래소, 샤페론 코스닥 상장 승인…19일 상장
- 中,대만 침공 빨라질수도.블링컨 美국무 이례적 언급
=> 방산 : 현대로템, LIG넥스원, 한화에어로, 한국항공우주, SNT중공업 평화홀딩스,한일단조,빅텍
=> 미중분쟁 : 유니온머티, 동국알앤에스, 유니온, 샘표식품, 신송홀딩, 쎄노텍, 티플랙스, 유니온, 유니온머티
=> 신규주 : 샤페론, 에스비비테크, 오에스피, 이노룰스, 쏘카, 모델솔루션
=> 동전주(품절주) : 양지사, 베트남개발
=> 금리인상 : 제주은행, 푸른저축은행, SCI평가정보, 고려신용정보
=> 아이오딘 : 대정화금, 한창산업, 엠에스씨● 신재생에너지
- EU 재생에너지 목표 상향 입법화 예정
- EU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에너지 확대 예정
- 美 IRA로 국내 태양광 반사이익…한국·동남아가 中 빈자리 채웠다
=> 태양광 : 한화솔루션, 현대에너지솔루션, 대명에너지, 에스에너지● 대마
=> 오성첨단소재,애머릿지
● 헬스케어 : 개별 이슈
- 신라젠, 항암제 파이프라인 인수 속도...전임상 결과도 ‘파란불’
=> 신라젠: 신라젠, 엠투엔
=> 코오롱 : 코오롱우, 코오롱, 코오롱생명과학
=> SITC(11/9) : 에스티큐브, 지니너스, 네오이뮨텍
=> 헬스케어 : 솔고바이오, 넥스턴바이오, 엔젠바이오, 나노씨엠에스● 반도체 원자재
- 반도체 원자재 네온 가격 33배 급등.中,우크라이나산 막히자 큰 폭 올려
=> 대성산업, 원익머트리얼, 이오테크닉스, APS홀딩, 풍국주정, 큐에스아이● 원자재
- "후판이 없다"…11월 말 철강 대란설에 떠는 조선업계
=> 철강 : 금강철강, 하이스틸, 문배철강
=> TDI : TKG휴켐스, 한화솔루션
=> 알미늄 : 남선알미늄, 조일알미늄, 삼아알미늄, 피제이메탈● 기타
- 휴마시스 : 지분 경쟁
- 티에이치엔, 세계 최고 성능 투명스마트 복합필름 상용화 제품 개발 진행 소식
=> 가덕도 신공항 : 삼보산업, 덕신하우징, 영화금속, 한국종합기술, 부산산업, 성광벤드
=> BQ.1 변이 코로나 재유행 :휴마시스, 유바이오로지기, 수젠텍, 랩지노믹, EDGC, 켐온, 국전약품,
한국비엔씨, 대원제약, 대화제약, 일동제약
=> 오리 AI : 이글벳, 중앙백신, 파루, 체시스, 우진비앤지
=> 넷플렉스 : 스튜디오드래곤, CJ ENM, 콘텐트리중앙, 덱스터, 위지윅스튜, 초록뱀미디
=> 지배구조 : 휴마시스, YTN, iMBC, 휴마시스, 화천기계, 고려아연, 영풍정밀, 에스엠
=> 게임 : 네오위즈, 데브시스터즈반응형'시황 > 테마 전망 및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6일 테마 및 27일 테마 전망 (0) 2022.10.26 10.24 시황 및 25 전망 (0) 2022.10.24 10.21 시황 및 24 전망 (0) 2022.10.24 10.19. 시황 및 20. 전망 (0) 2022.10.19 10.18. 19. 시황 및 전망 (1) 2022.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