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28x90반응형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오랜만에 작성해서 길이가 좀 있으니 주의)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두산테스나
- 밍치궈는 삼성이 이르면 2026년 애플 아이폰 모델용 48MP 카메라를 출하할 수 있다고 언급.
- 수년간 소니가 애플의 아이폰 카메라 공급망을 지배했으나 삼성이 애플 카메라 생태계에 진입한다면 소니 지배력에 타격이 갈 것. 반대로 삼성 생태계 수혜.
- 해당 뉴스가 7월 25일 발생하면서 두산테스나 주가 당일 고가 기준 7% 가량 상승. 해당 내용이 지속적으로 언급될 수 있음. 향후 애플 생태계 진입시 매출처 다변화 가능.
#LG이노텍
- 영업이익 기준 40% 이상 실적 서프라이즈 기록.
- 2H24 아이폰 판매 눈높이가 상향되고 있으며 전장/로봇 등 애플 및 모바일 외 적용처가 확대되고 있음.
- 다만 잠재적으로 트럼프 당선에 따른 중국산 아이폰 관세 가능성, 고객사 내 경쟁강도 심화 등 리스크 존재.
#테크윙(CITI)
- 현재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큐브 프로버 CAPA가 연간 360 Units에서 600 Units로 늘릴 계획. 이러한 선제적인 CAPA 확대는 1) 주요 고객사와의 퀄이 잘 진행되고 있으며, 2) 회사가 2~3번째 주요 고객사들의 수요 업사이드에 확신을 갖고 있다는 것을 함의.
- 회사의 데모테스트 시작은 9월에 시작될 것이며 데모 완료 및 PO는 4Q24 초기에 발생할 것으로 전망. 다른 고객사들의 큐브 프로버 채택 역시 더 적극적으로 변화했으며 빠르면 1Q25에 2번째 고객에게 배송을 시작할 수 있다고 언급.
- 회사는 강력한 장기 수요 성장을 보고 있다고 강조. 메모리 업체들은 HBM의 퀄리티를 강화하기 위해 더 많은 테스트를 진행할 것. 또한 더블~트리플 스태킹에 따라 잠재적인 테스트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
#SK하이닉스
- 컨콜에서 언급한 내용 중 긍정적인 부분은 1)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대규모 투자 이후 교체주기 도래. 일반 서버 성장률 20% 중반 전망, 2) 메모리는 원하는 제품을 장기 공급하는 주문형 산업으로 변화 중, 3) AI서버에서 고용량 eSSD는 매력적인 제품이 될 것.
- 철저히 고객 수요와 수익성에 근거하여 투자결정을 할 것이나 연초 계획 대비는 증가할 것으로 전망. 일반 D램 대비 CAPA 소요가 많은 HBM 수요 대응 등 과거 대비 필요 투자 규모 증가 중. HBM에 집중된 투자가 업계 전반적으로 이어지는 가운데 일반 D램 수요가 25년에 회복이 가속된다면 투자 역시 증가할 것.
#LG디스플레이
- 예상 대비 실적이 크게 상회하면서 긍정적인 모습을 보여줬지만 광저우 LCD 공장 매각은 시간이 걸린다고 언급하여 아쉬움.
- 광저우 LCD 공장 매각 이후 OLED 투자가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되어 광저우 LCD 공장 매각이 중요할 것.
- 노무라 TP up(17,000원)
#삼성바이오로직스
- 영업이익 기준 45% 가량 실적 서프라이즈 기록. 바이오 섹터가 좋은 모습을 보여주는 가운데 호실적.
- 에피스의 마일스톤 유입이 브라질 입찰 물량 조기 공급에 따라 기존 예상치 대비 10%(약 200억) 가량 높게 수취. 그럼에도 불구하고 로직스의 OPM 41%는 예상치 38%를 크게 상회. 이는 1~3공장 Full, 예상보다 빠르게 램프업 된 4공장 및 환율 영향.
- 공격적인 수주에 따른 추가 수주 확보 기대 가능성 높음.
- 국내 증권사 TP 110~125만원으로 상향조정 중.
#한국콜마(CLSA)
- 콜마의 3Q23 내수 판매 증가의 부진 이유가 용량 부족이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콜마의 3Q24 내수 성장은 낮은 기저를 토대로 다시 YoY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
- 11월 예정된 용량 확장을 토대로 동종업계와의 매출 그로스 갭을 축소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4Q24 이후 용량 문제에 대한 우려가 완화될 것.
- 콜마의 중국 노출도에 대한 우려가 있지만 실제로는 매출의 7%, 영업이익의 5% 수준이기 때문에 과도한 우려로 판단. 또한 24~25년 P/E 밸류에이션 기준 각 13, 11배 수준으로 매력적인 밸류에이션 수준. 역사적으로 콜마는 2티어 ODM 업체들(C&C/코스메카)과 비교되었는데 그들의 밸류에이션은 20배 수준. 밸류에이션갭 축소 기대.
#그린플러스
- 회사의 펀더멘털을 바꿔줄 호주 수주가 기존 스케줄 대비 밀리는 모습.
- 회사에 따르면 협상 과정에서 조율 이슈로 인해 밀리는 것으로 판단.
#HD한국조선해양
- HD현대그룹의 조선업체들이 전반적으로 수주선가가 이상적으로 올라오고 있으며 컨선의 선가가 2년전 LNGC에 육박 혹은 이를 상회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음. LNGC의 수익성이 전통적으로 높다는 것을 고려하면 컨선의 수익성도 꽤나 좋을 것으로 전망.
- 신조 척수 23년 1,308척인데 반해 24년 신조 발주 척수는 875척으로 23년 연간 대비해서 많은 발주가 이뤄지고 있으며 신조 사이클 안정적 상승 국면 지속. 05~08년 사이클과 같이 무분별한 Q 확장이 이루지지 않는 상황에서 노후적 교체 수요 가속화 및 후티 반군에 따른 톤마일 증가, 원자재가 인상 등 향후 선가 상승 가능성이 높아 신조 시장 긍정적. 이미 신조선가는 187.78로 역대 최고 호황기 191.58에 근접한 상황.
- 대형 LPG선 37척 중 25척을 동사가 수주. VLAC는 20척 수준으로 글로벌 암모니아 운반선 시장의 50% 이상을 차지. 50년까지 글로벌리 400여척의VLAC 발주가 기대됨.
- 현재 HD현대 3사 기준 연간 수주 목표의 122%로 초과달성한 상황이지만 시장 움직임에 따라 고수익 물량 확보를 계속해서 진행할 것. 북미 지역 중심의 LNG 시장 확대가 예상되며 잔여슬롯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수익성 극대화 전략으로 나갈 것.
- 후판의 중국 비중은 20%에서 25% 수준으로 확대하고 있으며 국내 내수가격도 하향안정화 되는 중. 현재 가격 하락한 것들은 2H24 반영될 것이며 햐향 추세는 계속될 것. 고수익성 매출인식이 더해져 마진 개선 속도는 2H24~25년 갈수록 더 빨라질 것.
- 공정개선/원가하락/고수익성 등에 따라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는 강력한 워딩. 다만, 3Q의 경우 휴가, 기상 등의 이슈로 조업일수가 감소하는 대표적인 비수기이기 때문에 기대감 대비 실적이 아쉬울 가능성 존재. 다만, 3Q 이후에 실적 개선 속도가 더 빨라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현대로템
- 영업이익 기준 36% 가량 서프라이즈 기록. 1H24 기준 디펜스의 해외 비중 62% 수준
- K2 폴란드향 매출이 24년 56대, 25년 96대인 점, 25년 물량 선제적 반영 측면에서 QoQ 증익 기조는 이어질 것으로 전망.
- 중요한 것은 추가 수주. 폴란드의 경우 자주포 대비 조건을 여러개 걸면서 넘어지고 있고 루마니아는 아직 딜리 익어가는 모습. 연내 계약 가능성이 존재하기에 기대감 가능.
- 동유럽 국가들의 수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노르웨이와 비슷한 국면으로 흘러갈 가능성이 조금 더 높다고 판단함. 또한 아직 폴란드와 루마니아에 집중해야 해서 추가 수주에 신경 쓸 여유가 있는 것 같지는 않음. 불가리아 정도는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함. 향후 중동쪽 미국 계열 전차 대체 시장이 주목받을 가능성.
- 디펜스 수주잔고가 YoY 16% 감소했는데 향후 수주를 통해 해소할 수 있는 이슈로 판단. 밸류에이션 관점에서 대장주 2개 대비해서 편안한 선택지.
#효성중공업
- Granit 글 참고: https://t.me/Joorini34/7312
- 건설..
#헥토파이낸셜
- 전자금융거래볍 개정안은 1) 신규 라이선스 도입, 2) 대금결제업자 후불결제 허용, 3) 진입규제 합리화, 4) 이용자 보호체계 마련, 5) 금융보안 관리체계 확립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한 것은 유통사/쇼핑몰/영화관 등에 전자지급결제대행업자(PG사) 등록이 반강제로 변경됨.
- 주요한 것은 선불업 및 전자지급결제대행업을 이미 라이선스를 보유 중인 핀테크에 위탁이 가능하다는 점인데, 동사는 유일하게 선불 및 PG업 대힝 수요를 모두 충족할 수 있는 것으로 보임.
- 리스크는 1) 안건 변경 여부, 2) 티몬/위메프가 PG사에 대금을 지급하지 못한 것에 대해 PG사 손실 인식 가능성 정도.반응형'주식 > 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SNT모티브 (064960): 전기차 구동모터 수주가 필요 (0) 2024.07.29 현대로템 (0) 2024.07.29 파인엠텍(441270.KQ): 2Q24 Preview: 향후 비상을 위한 투자 ★ (1) 2024.07.23 압타바이오 (0) 2024.07.23 벨로크 (0) 2024.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