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연준 인사 발언
    시황/특징주 및 테마 2022. 10. 20. 07:57
    728x90
    반응형

    Neel Kashkari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중립, 2023년 투표권)

    1. 모기지 금리 상승이 주택 구매 수요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

    2. 가스 가격 상승은 구매력에 분명한 영향을 미치는 중

    3. 연준은 여전히 경제의 연착륙을 위해 노력 중. 글로별 경기는 둔화 중이지만 아직 경기 침체를 논하기에는 시기상조. 적어도 상반기까지는 고용 덕분에 침체에 빠지지 않을 것

    4. 고용시장 일자리 창출은 견조한 수준이지만 소비 부문은 둔화 징후 포착

    5. 헤드라인 인플레이션은 고점을 통과한 것 같지만 근원, 서비스 물가의 고점 통과 증거는 찾지 못한 상황. 그럼에도 우리가 물가를 2%대까지 내리지 못할 이유는 전혀 없음

    6. 공급망 교란은 개선 중. 공급 측면 물가가 추가적으로 개선되면 연준의 금리 인상 폭도 줄어들 것

    7. 금리 인상 효과를 경제가 온전히 흡수하는데 까지는 약 1년 소요 전망

    8. 소극적인 긴축이 과도한 긴축보다 위험 초래 가능성이 더 높음. 근원 물가 둔화세가 보여야 긴축 중단(pause) 가능. 디플레이션이 인플레이션보다는 당연히 더 안좋음

    9. QT의 끝과 그 결과는 알 수 없음. 아직 대차대조표 축소까지는 갈 길이 먼 상황


    James Bullard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매파, 2022년 투표권)

    1. 기준금리 인상은 특히 주택 가격에 영향을 미칠 것

    2. 시장은 연준의 시그널 전까지 기준금리 인상 기조 반영 필요

    3. 11월 75bp 인상은 시장이 반영 중. 12월 인상 폭은 미리 결정하지 않을 것

    4. 고용시장이 견조하기 때문에 물가에 대응하기 좋은 시점. 2023년에는 긍정적인 흐름 기대. 기대 인플레이션은 바람직한 모습 보이는 중

    5. 국채시장을 포함함 시중 유동성을 면밀히 관찰 중이지만 주가 하락에 연준이 대응해서는 안됨

    반응형

    '시황 > 특징주 및 테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20 핫 이슈  (0) 2022.10.20
    10 20 증시 전략  (0) 2022.10.20
    10.20  (0) 2022.10.20
    10.20 시장 주도주  (0) 2022.10.20
    채권 시장 현황  (0) 2022.10.19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