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마/전고체
-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특징주 자료테마/전고체 2023. 12. 7. 09:35
👉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특징주 자료 [특징주] 유일에너테크, 전고체 배터리 개발 예타통과에 삼성SDI 핵심 장비 납품 부각 [더벨]메가터치, 차세대 2차전지 정부사업 예타 통과 '호재' [특징주]웰크론한텍, 전고체 개발 사업 예타 통과..핵심원료 공급 부각 [특징주] 디에이테크놀로지, '전고체 개발사업' 예타 통과↑…LG엔솔 협력 부각 [특징주] 이수화학 '전고체 배터리' 예타 통과 소식에 '급등' [특징주]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수혜 기대' 레이크머티리얼즈 주가 강세 [특징주] 전고체배터리 관련주 부각... 한농화성ㆍ씨아이에스 강세 [특징주] 원준, 퀀텀스케이프 테슬라 뛰어 넘는 배터리 공개… 납품 이력 부각 [특징주] 이수스페셜티케미컬, 전고체 배터리 기대감에 상한가 [특징주]아이엘사이언스, ‘꿈..
-
●전고체전지에서 디와이피엔에프가 핵심 설비업체가 될 수 있는 이유테마/전고체 2023. 12. 5. 22:53
●전고체전지에서 디와이피엔에프가 핵심 설비업체가 될 수 있는 이유 * 전고체전지의 핵심은 소재의 혁신과 공정의 혁신이 모두 필요하다는 것 * 전극은 활물질, 도전재, 바인더의 3가지 구성요소를 용매와 믹싱해 슬러리를 만들고, 집전체 위에 도포한 다음 용매를 건조하는 코팅을 거쳐 프레싱을 하여 만들어 짐 * 전고체전지는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활물질, 도전재, 바인더를 믹싱하는 건식 믹싱 방식을 채택. 스마트한 소재 배합비와 건식 스크류 믹서 방식이 중요. 액체 형태가 아닌 고체 형태의 믹싱을 하는 건 더욱 정교한 기술이 필요하며, 대량으로 건식 믹싱을 하는 건 석유화학 산업에서 믹싱의 강점이 있는 디와이피엔에프가 더욱 유리한 분야 * 고체 상태의 원료는 이송과 저장 시 액체 상태보다 폭발과 변질 위험이 높..
-
● 고전위창 가넷구조 LLZO(Garnet형 Li7La3Zr2O12) 전구체 합성공법테마/전고체 2023. 12. 1. 00:16
● 고전위창 가넷구조 LLZO(Garnet형 Li7La3Zr2O12) 전구체 합성공법 티디엘의 “(차세대 2차전지) 산화물계 고체전해질 및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이 코팅된 양극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전지(10-2388591)”가 2022년 11월 대한민국 발명특허 대전 대통령상 수상. 전고체전지는 액체 전해질이 없기 때문에 구성 요소인 전극 사이의 저항이 커지게 되는데, 티디엘은 이러한 문제점을 하이브리드 양극과 밀도가 다른 전해질층을 두어 한계를 극복하였음. 이는 추가물질 없이 전극과 고체전해질 사이 경계면의 계면저항을 감소시키는 계면 제어기술을 확보했기 때문에 가능. 티디엘의 2023년 보유하고 있는 전고체전지 관련 국내외 특허는 41건. ● 관련기술 ○ 공침법(Co-precipitatation ..
-
산화물 기반 고체전해질 소재 및 복합고체전해질 시트의 개발 필요성테마/전고체 2023. 12. 1. 00:15
[ 사진첩 ] 산화물 기반 고체전해질 소재 및 복합고체전해질 시트의 개발 필요성 산화물 기반의 고체전해질 소재는 이온전도성이 대체로 우수하지만 매우 rigid한 특성으로 인해, 산화물만으로 전기차 등 중대형의 전고체 전지를 제작하는 데 요구되는 고체전해질 시트 및 양극, 전고체 전지 Ass’y등 대면적 제조기술에는 한계점이 있음. (소형 IT기기용으로 보다 먼저 적용될 수 있음) 산화물 기반의 고체전해질 소재를 고분자/Salt와 복합화하는 복합고체전해질 시트 기반의 전고체 전지가 실질적 대안이 되고 있으며, 복합고체전해질 시트에서 산화물 이온전도체의 결정구조 및 물리적 형상 등이 이온전도 특성에 큰 영향을 주고 있음. 복합 양극에도 고체전해질 소재 적용이 필요하며, 핵심 소재로는 고성능 및 고효율의 산화..
-
산화물 기반 고체전해질 소재테마/전고체 2023. 12. 1. 00:15
산화물 기반 고체전해질 소재 “산화물기반 고체전해질”은 산화물 상태에서 리튬 이온전도성이 우수하고 분말의 입도 및 형상제어에 의해 고효율 복합고체전해질 시트 및 복합양극, 그리고 전고체리튬전지를 구현하는 산화물계 고체전해질 소재임. 고체전해질 소재는 주로 무기 고체전해질, 유기(고분자) 고체전해질로 분류되며, 무기 고체전해질은 고분자 고체전해질과는 달리 유연성 측면에서는 불리하지만, 본질적으로 불연성이기 때문에 안전성면에서 매우 우수하고 리튬이온(Li+)만이 전도하는 높은 수율의 이온전도(Single-ionic conduction) 특성을 나타냄. 무기고체전해질 결정재료에 해당하는 산화물 기반의 고체전해질은 Garnet형 LLZO, NASICON형 LATP, 페소스카이트형 LLTO 등이 있으며, 최대 ~..
-
산화물 기반의 고체전해질 분야의 밸류체인테마/전고체 2023. 12. 1. 00:14
산화물 기반의 고체전해질 분야의 밸류체인 산화물 기반의 고체전해질 소재는 전고체전지의 시스템 내에서 생성되는 리튬이온의 전달 및 이송용 핵심부품으로 사용됨. 산화물 기반의 고체전해질 소재는 복합고체전해질 시트 및 양극층 내에서 이온전도 path를 증가시켜 주고, 시트의 기계적 특성, 리튬 덴드라이트 억제 등 기존 고분자 이온전도체의 한계를 극복하는 핵심 기능으로 활용 산화물계 고체전해질 소재는 NCM 양극 기반의 전고체 리튬이차전지 외에도, 리튬-황, 리튬-에어 전지의 전고체화에 요구되는 핵심소재로서 활용될 수 있음. 자료인용 : 중소벤처기업부 발간 “중소기업 기술국산화 전략품목 상세분석(미래소재)”
-
산화물계 고체전해질 산업 및 시장 분석테마/전고체 2023. 12. 1. 00:12
산화물계 고체전해질 산업 및 시장 분석 고체전해질은 전지의 전압과 에너지 밀도를 증가시키는 초이온 전도체로, 빠른 확산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높은 이온 전도도를 나타내고, 불연성이며 더 긴 사이클 수명을 지녔음. 또한 급속 충전이 가능하여 고전력의 애플리케이션에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외 전기자동차, 웨어러블 및 드론 시장에서 폭넓게 이용될 수 있음. 전고체 배터리용 고체전해질 재료로는 세라믹, 폴리머, 유리, 황화물, 산화물, 리튬 인 산실화물(LiPON), 리튬 붕인산(LiBP)등이 있으며, 인산염, 폴리실록산,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및 니트릴 기반 전해질과 같은 다양한 기타 화학물질/재료도 연구 개발되고 있음. 고체전해질은 높은 에너지 밀도가 가능하고 단락을 방지하여 배터리의 고효율화..
-
전고체테마/전고체 2023. 11. 30. 23:57
국내 전고체 배터리 및 소재 개발 현황 SK이노베이션 : 2020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인 존 구디너프 미국 텍사스대 교수와 고체전해질 연구에 착수 티디엘 : 2012년 한국생산기술원으로부터 총 3차례 전해질 합성과 배터리 제조, 양극복합화기술을 이전 받아 전고체 배터리 생산기술을 완성 나주공장에서 소재합성 및 전고체전지 전극/셀 제조공정을 확보하여 국내외 업체에 판매 또는 샘플 제공을 하고 있음. 티디엘은 고체전해질 분말 생산성을 높이고자 하소 조건 변경을 통해 투입량이 늘어나더라도 Cubic 구조의 LLZO 결정구조를 갖는 합성 조건을 확보하고 있음. 또한 생산된 고체전해질을 이용한 복합시트를 제조하기 위해 슬롯다이 코터의 모노펌프 RPM에 따른 두께편차 최소화 조건과 안정적인 두께의 시트 캐스팅 조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