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전고체
    테마/전고체 2023. 11. 30. 23:57
    728x90
    반응형

     

    국내 전고체 배터리 및 소재 개발 현황

    SK이노베이션 : 2020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인 존 구디너프 미국 텍사스대 교수와 고체전해질 연구에 착수

    티디엘 : 2012년 한국생산기술원으로부터 총 3차례 전해질 합성과 배터리 제조, 양극복합화기술을 이전 받아 전고체 배터리 생산기술을 완성
    나주공장에서 소재합성 및 전고체전지 전극/셀 제조공정을 확보하여 국내외 업체에 판매 또는 샘플 제공을 하고 있음.

    티디엘은 고체전해질 분말 생산성을 높이고자 하소 조건 변경을 통해 투입량이 늘어나더라도 Cubic 구조의 LLZO 결정구조를 갖는 합성 조건을 확보하고 있음.
    또한 생산된 고체전해질을 이용한 복합시트를 제조하기 위해 슬롯다이 코터의 모노펌프 RPM에 따른 두께편차 최소화 조건과 안정적인 두께의 시트 캐스팅 조건을 도출하였음.

    대주전자재료 : 2021년 10월 한국전기연구원이 자체 개발한 “황화물계 전고체전지용 고체전해질 공침 제조기술”을 대주전자재료에 기술이전

    한농화성 : 전고체용 고분자 전해질 핵심소재인 가소제와 가교제를 개발

    씨아이에스 : 씨아이솔리드, 티에스아이, 한국진공 등과 고체전해질 생산라인 마련을 위한 MOU를 맺었음.

    이수화학 : 전고체용 황화리튬 저가화 연구를 진행 중

    정관디스플레이 : 황화물, 산화물을 판매하고 있으며, 대량 생산이 아닌 배치 Scale로 수십 kg 정도의 샘플을 공급

    자료인용 : 중소벤처기업부 발간 “중소기업 기술국산화 전략품목 상세분석(미래소재)”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