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황
-
퀀트 주간 이익 동향시황/특징주 및 테마 2022. 10. 23. 15:28
[미래에셋증권 퀀트 유명간] 주간 이익동향 (10월 4주차) ★ Summary ★ [글로벌] 선진국, 신흥국 실적 하향 조정 폭 축소 [한국] 23년 영업이익 하향 조정 지속. 유틸/디스플/증권/에너지/화학/SW↓ ■ 글로벌 이익동향(MSCI, 12MF EPS) * 전세계 EPS 변화율(1M) : -2.2%(DM: -1.9% > EM: -4.2%) * 컨센서스 상향 국가(1M) : 호주(+2.4%), 인도네시아(+1.8%) * 컨센서스 하향 국가(1M) : 한국(-8.0%), 유럽(-2.2%), 미국(-1.3%) 등 * 컨센서스 상향 업종(1M, DM+EM) : 에너지(+0.5%) * 컨센서스 하향 업종(1M, DM+EM) : 소재(-4.6%), 산업재(-3.4%), IT(-3.4%), 경기소비재(-3...
-
비상 거시경제금융회의 주요 내용시황/특징주 및 테마 2022. 10. 23. 15:15
비상 거시경제금융회의 주요 내용 - 금융위: 채안펀드 24일부터 회사채 및 CP 매입 재개 - 증권금융: 자체 재원 활용, PF, ABCP 관련 유동성 부족한 증권사 대상 3조원 지원. 관계기관 연계 추가 지원도 확충 - 산은, 기은, 신보: 회사채 및 CP 매입 프로그램 매입 한도 8조원에서 16조원으로 상향. 금융사 CP도 매입 - 한국은행: 적격담보대상 증권에 공공기관채, 은행채 포함 검토 - 기재부: 기존 시장안정조치에 더해 유동성 공급 프로그램 50조원 +α 규모로 확대해 운영, 부동산 PF 대응을 위해 모든 지방자치단체가 매입 보증 확약 - 주공, 주금공: 사업자 보증 10조원으로 확대 국내의 긎한불은 꺼지겠으나 외국인들의 시선이 어떻게 될지 것정입니다 살얼음판을 걷고 있는데 김진태가 그 앞에..
-
위기와 의지시황/특징주 및 테마 2022. 10. 23. 12:51
위기를 막을 의지와 능력(feat. NY연준) https://naver.me/5UGhVs1a 1. 최근 위험(Risk) 또는 위기(Crisis)에 대한 이야기를 자주 해 왔습니다. (a) 리스크 관리의 모든 것 - https://naver.me/5kXQJohD (b) 위기의 징조들 - https://naver.me/5eTE4AD2 (c) 무엇이 위기를 키울까? (feat. IMF) - https://naver.me/5MCljEt0 2. 최근 시장 환경을 보면, 1~2달 전에 비해서 완전히 달라졌다는 것을 체감들 하실 것 같습니다. 지난 주에 국내에서 나온 여러가지 뉴스들을 보면, 썰물이 오니까, 너도나도 이런 잘못을 하며 살았어요~ 하면서 #고해성사 하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레고랜드' 거센 후..
-
넷째주 증시전망시황/특징주 및 테마 2022. 10. 23. 12:28
[신영증권 박소연] 10월 넷째주 증시전망 중앙은행 속도조절론이 부상하고 있습니다. 여러번 뒤통수를 맞았던 경험이 있다보니 이번엔 믿어도 될까 아직 의구심이 많은데요 1) 지난 주 미국 재무부의 국채 바이백 검토 : 미국도 유동성 경색을 겪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시인한 셈이고 2) 지난주 한국 금융위는 '시장안정을 위한 금융위원장 특별 지시사항' 보도자료까지 배포했습니다. 채안펀드 추가 캐피탈콜, 은행 LCR 정상화 유예 등이 언급됐죠. 물가 잡는 것도 중요하지만 금융 시스템이 망가지면 다 무슨 소용이겠습니까. 그런 의미에서 매우 반가운 발표입니다. 그러나 시장이 완전히 바닥을 쳤다고 보긴 어렵습니다. QT는 아직 매월 950억달러 규모로 진행 중이고, 곧 영란은행의 QT도 시작됩니다. 사실 현 수준의 금..
-
4주차 증시 일정시황/특징주 및 테마 2022. 10. 23. 11:40
👔 10월 4주차 증시일정 ✅월/10월 24일 * 미국) - 21:30_시카고연은 전미경제활동지수 - 22:45_서비스/제조업/합성 PMI * 중국) - 10:30_9월 주택가격지수 - 11:00_3분기 GDP/9월 소매판매/광공업생산 - 17:00_9월 무역수지 * 일본) - 09:30_서비스업/제조업 PMI * 독일) - 바이오 유럽 2022 개최 - 16:30_서비스업/제조업/합성 PMI * 영국) - 총리 후보 등록 마감일 * 한국실적발표: 한샘, 포스코인터내셔널, PI첨단소재 ✅화/10월 25일 * 한국) - 06:00_10월 소비자신뢰지수 - 윤 대통령, 시정연설 예정 - 코오롱티슈진 상장페지 여부 결정 -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조지아주 전기차 착공식 참석 - 블랙핑크, 월드투어 북미 개최..
-
증시 전망: 시황맨시황/특징주 및 테마 2022. 10. 23. 09:44
증시 전망대. 긴축 완화론에 힘이 실릴까 지난주 증시는 큰 변화없이 마무리 주초 상승, 주후반 하락 미국 실적 효과는 긍정적 반면 금리, 국내 건설사 이슈로 후반에는 약세 새로운 모멘텀이나 이슈가 없어 갇혀있는 모습 글로벌 증시는 미국, 독일 정도 상승 아시아는 인도 제외 대부분 부진 특히 금리와 환율이 부담으로 작용했던 한주 미국 국채 금리가 주중까지는 지속 상승세를 보임 고물가, 강한 긴축 프레임이 한동안 이어졌음 금리의 근본 문제는 인플레 물가가 잡히지 않으면서 연준 인사들 강한 발언 닐 카시카리 강한 긴축 언급 등에 영향 주말 미 증시 움직인 재료는 주목해 볼만 금리인상 속도 조절론에 증시가 급반등 물론 만기일에 따른 변동성 요인도 있었을 듯 다만 나온 출처, 연준 위원 발언은 주목 받을 듯 WS..
-
미장의 변화시황/특징주 및 테마 2022. 10. 22. 12:06
글로벌 주식시장 변화와 전망(10월 24일)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미 증시, 연준의 금리인상 속도 조절 기대로 2%대 상승 미 증시는 옵션 만기를 맞아 스냅(-28.08%) 여파로 일부 대형 기술주의 중심 하락 출발했으나, WSJ 티미라오스 기자가 11월 75bp 인상 후 12월 더 적은 금리인상을 논의할 것이라는 기사를 작성한 이후 상승 전환. 여기에 일본의 엔화가 정부 개입으로 추정된 움직임에 달러화가 약세로 전환한 점도 상승 요인. 더불어 델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가 금리인상 속도 조절 관련된 발언을 하자 상승폭을 더욱 확대하며 마감(다우 +2.47%, 나스닥 +2.31%, S&P500 +2.37%, 러셀2000 +2.22%) 변화요인: ①변화하는 연준 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