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7월 CPI, 변곡점을 대비하는 자세
    시황/특징주 및 테마 2022. 8. 7. 20:49
    728x90
    반응형

    7월 CPI, 변곡점을 대비하는 자세

    ◆ 주간 이슈 및 전망

    - Good news is bad news. 미 경제 지표가 부진하게 집계될 수록 증시는 오히려 상승세를 보이고 있음. 지난달 28일 미국 2분기 GDP가 마이너스를 기록하여 미 경제가 기술적 침체기에 돌입한 이후 미 증시와 더불어 국내 증시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음. 미 경제 지표가 침체를 나타낼 수록 미 연준의 긴축 강도가 완화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반영되고 있기 때문임. 이는 반대로도 적용이 가능함. 미국 7월 평균 임금상승률이 YoY +5.2%(vs. 컨센서스 4.9%)를 기록하고, 비농업 신규고용자수가 예상치의 두배에 가까운 52.8만명으로 집계되는 등 미국 고용 시장이 호조를 보이자, Nasdaq 지수는 하락 마감함. 미 고용 시장이 견조하니 미 연준이 9월 FOMC에서 75bp 인상을 고려할 수도 있겠다는 우려가 기술주의 차익실현으로 이어진 것으로 판단함. CME Fedwatch에서도 9월 75bp 인상 확률이 68%(vs. 1주전 28%)까지 상승함. 일각에서는 미 연준이 8월 긴급회의를 개최하여 금리 인상을 단행할 수도 있다고 주장함. 데이터 의존적인 미 연준은 우선적으로 미 7월 물가지표를 확인할 것이기에 아직 미 연준의 8월 긴급회의 가능성은 시기상조임. 다만, 이번주 미 연준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과 미 7월 CPI 불확실성을 회피하려는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될 가능성은 있음

    - 빠른 순환매장 대응. 지난 7월 6일 KOSPI 지수가 연저점(2,292pt)를 기록한 후 KOSPI 지수가 2,500pt에 근접하고 있음. 최근 국내 증시의 특징은 크게 2가지로 1) 외인 수급이 유입이 지속되고 있다는 점과 2) 순환매 속도가 빠르다는 점임. 지난주의 경우, 인터넷-게임-제약/바이오 등의 순으로 일간 주도 업종이 매우 빠르게 변하고 있기 때문에 대응이 어려움. 따라서 연초이후 크게 하락했으나 7/6 저점 이후 반등폭이 크지 않은 업종에 주목해야 함. 월간 전략 자료에서 추천한 업종인 화장품/의류(+6%)와 헬스케어(+7%)의 경우 KOSPI의 반등폭(+7.9%)를 여전히 하회하고 있음. 또한 중장기적 관점에서 글로벌 경제가 침체기에 가까워지고 있다는 점에서 경기방어업종도 보유해야 하고, 이 중 음식료 업종을 추천함

    - 투자전략. 지난주 KOSPI 지수가 2,500pt대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1) 부진한 미 고용지표, 2) 전월치(Yoy +9.1%)를 크게 하회한 미 7월 CPI가 필요하다고 언급한 바 있음. 우선 고용지표가 예상외로 호조를 보이면서 이번주 KOSPI가 조정 받을 가능성이 높아졌음. 10일 발표되는 미 7월 CPI 발표치에 따라 증시의 방향성이 정해질 것임. Investing.com 기준 미 7월 CPI Headline YoY 컨센서스는 지난주 8.9%에 8.7%까지 하락하였음. 미 7월 CPI가 컨센서스나 그 이하로 집계될 시, KOSPI 지수는 2,500pt대 안착을 시도할 것으로 판단함. 미 물가 지표가 컨센서스를 상회할 시, 미 연준의 강한 긴축강도가 지속될 것이라는 우려와 함께 국내 증시가 조정 받을 가능성이 높아질 것

    반응형

    '시황 > 특징주 및 테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8.22 주도테마  (0) 2022.08.22
    8.9 주도주  (0) 2022.08.08
    증시전망  (0) 2022.08.07
    【 8월 4일 상한가 및 급등주 】  (0) 2022.08.04
    <시간외 특징주>  (0) 2022.08.04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