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7/06 [미래에셋증권] 해외 금융시장시황/시황 2023. 7. 6. 08:38728x90반응형
미래에셋증권 서상영/김석환:
07/06 [미래에셋증권] 해외 금융시장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 (02-3774-1621)
◆ 미국 증시
- DOW: 34,288.64p (-129.83p, -0.38%)
- S&P500: 4,446.82p (-8.77p, -0.20%)
- NASDAQ: 13,791.65p (-25.12p, -0.18%)
- 러셀2000: 1,872.91p (-23.87p, -1.26%)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64.06 (-0.73, -1.13%)
- MSCI 이머징지수 ETF: $39.76 (-0.24, -0.60%)
- Eurex kospi 200: 341.05p (+0.45p, +0.13%)
- NDF 환율(1개월물): 1,302.60원 / 전일 대비 3원 상승 출발 예상
- 필라델피아 반도체: 3,622.32 (-81.30, -2.20%)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103.364 (+0.325, +0.32%)
- 유로/달러: 1.0854 (-0.0025, -0.23%)
- 달러/엔: 144.67 (+0.20, -0.14%)
- 파운드/달러: 1.2703 (-0.0010, -0.08%)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4.9445% (+0.9bp)
- 5년물: 4.2474% (+6.0bp)
- 10년물: 3.9296% (+7.5bp)
- 30년물: 3.9249% (+6.2bp)
- 10Y-2Y: -101.49bp (6.64bp 역전 축소)
(국채선물)
- 2YR T-Notes: 101*16 (-0*01 , -0.03%)
- 5YR T-Notes: 106*18 1/2 (-0*08 , -0.23%)
- 10YR T-Notes: 111*11 1/2 (-0*16 1/2, -0.46%)
- US T-Bonds: 125*08 (-1*26 , -0.94%)
- Ultra US T-Bonds: 134*07 (-1*23 , -0.94%)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71.79 (+2.12, +3.04%)
- 브렌트유: 76.65 (+0.41, +0.54%)
- 금: 1,927.10 (-6.70, -0.35%)
- 은: 23.40 (+0.23, +1.01%)
- 아연(LME, 3M): 2,357.50 (-53.50, -2.22%)
- 구리: 376.85 (-3.40, -0.90%)
- 옥수수: 493.50 (+0.75, +0.15%)
- 밀: 674.25 (+31.75, +4.95%)
- 대두: 1,355.00 (-3.25, -0.24%)
*동 자료는 2023년 7월 6일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글로벌 주식시장 변화와 전망(7월 6일)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미 증시, 매파 연준과 미-중 갈등 우려 속 반도체 업종 중심 하락
미 증시는 중국의 갈륨, 게르마늄 수출 제한 소식에 반도체 업종이 약세를 보인 가운데 하락 출발했지만 대형 기술주가 강세를 보여 낙폭은 제한. 한편, FOMC 의사록에서는 연착륙에 대한 언급과 금리인상 기조 유지 등 매파적인 내용이 있었지만 이 또한 영향은 제한. 장 후반에는 미 상무부가 중국 수출 제한에 대해 강력한 어조로 비판하자 미-중 갈등 우려로 낙폭이 일부 확대. 이후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기도 했으나 ChatGPT 트래픽 감소 소식에 반도체 업종의 낙폭이 확대되며 결국 낙폭을 키우며 하락 마감(다우 -0.38%, 나스닥 -0.18%, S&P500 -0.20%, 러셀2000 -1.26%)
변화 요인: ①FOMC 의사록 공개 ②미-중 갈등
https://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30706060021317_3533
*특징 종목: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2.20% 하락
메타 플랫폼(+2.92%)은 트위터 경쟁 앱인 스레드를 출시할 것이라는 소식에 강세. 최근 실적 발표 후 하락하던 C3.AI(+7.04%)는 AI 산업 기대 속 상승. 유아이패스(+1.77%) 등도 동반 강세. 반면, 엔비디아(-0.23%)는 하락 출발 후 매수세 유입되며 상승 전환하기도 했으나, ChatGPT 트래픽 감소 소식에 결국 하락 전환. 알파벳(+1.54%), MS(+0.05%), 아마존(+0.12%) 등은 AI 관련 기대와 미-중 기술전쟁 속 수혜를 입을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자 강세. 다만, MS와 아마존은 장중 매물 출회되며 상승 반납. 모더나(+1.49%)는 중국에 약품 개발 위한 대규모 투자 발표하자 강세.
중국 갈륨, 게르마늄 수출 규제 여파로 마이크론(-2.88%)을 비롯해 인텔(-3.30%), 온 세미컨덕터(-4.01%), 램리서치(-3.44%) 등 반도체 관련 업종이 약세를 보임. 이 여파로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2.20% 하락. 특히 ChatGPT 트랙픽 감소 소식도 부담. 반면, 희토류 소재 회사인 MP 머티리얼스(+6.00%)는 관련 소식에 한 때 11% 넘게 급등하기도 했으나 매물 소화하며 상승폭 일부 반납. 나이키(-1.84%)는 부진한 실적 발표 후 연일 하락을 지속.
애플(-0.59%) 부품 업체인 폭스콘의 2분기 매출이 전년 대비 13.8% 감소했고 6월 한달 동안은 거의 20% 감소했다고 발표하자 애플은 물론 스카이웍(-0.59%), 쿼보(-3.94%) 등 애플 부품주도 동반 하락. 최근 UBS가 아이폰 판매 둔화 지속을 전망하며 투자의견을 하향 조정했는데 관련 우려가 재부각된 것으로 추정.
07/06 한국 증시: 실적 시즌 준비하며 물량 소화 과정 진행 전망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MSCI 한국 지수 ETF는 1.13%, MSCI 신흥 지수 ETF는 0.60% 하락.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302.60원으로 이를 반영하면 달러/원 환율은 3원 상승 출발 예상. Eurex KOSPI200 선물은 0.13% 상승. KOSPI는 소폭 하락 출발 예상.
미 증시가 매파적인 연준의 FOMC 의사록을 소화 후 미-중 갈등이 확대되고 있음에도 약보합으로 마감한 점은 한국 증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 여전히 투자 심리가 견고함을 의미하기 때문. 특히 오늘부터 옐런 미 재무장관이 중국을 방문해 중국의 시진핑 등과 회담을 진행, 확대되고 있는 미-중 갈등이 완화될 수 있다는 기대 심리 또한 우호적.
물론, 중국의 갈륨과 게르마늄 수출 제한 소식으로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가 2.20% 하락한 점은 부담이나 전일 시장에 반영이 되었다는 점, 그리고 재고 등을 감안 단기적으로 영향이 크지 않다는 점을 감안 지속된 영향을 줄 가능성이 제한. 그럼에도 불구하고 ChatGPT 트래픽 감소 소식이 전해진 이후 낙폭이 확대된 점을 감안 오늘도 관련 종목에 대한 투자심리는 위축될 것으로 전망
더불어, 연준은 FOMC 의사록을 통해 여전히 추가적인 금리인상 기조를 재확인했고, 연말 이후 경기 침체 가능성을 언급한 점은 부담. 우리 경제의 수출의존도가 높아 미국 등 글로벌 경기가 위축될 경우 실적 둔화가 지속될 수 있기 때문. 이를 감안 한국 증시는 소폭 하락 출발 후 실적 시즌을 준비하며 물량 소화 과정이 진행될 것으로 전망.반응형'시황 >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7.7 모닝 브리프 (0) 2023.07.07 주식시장 리뷰와 미 증시 전망 (7월 6일) 미래에셋증권 (0) 2023.07.06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3.7.4 모닝 브리프 (0) 2023.07.04 07/04 [미래에셋증권] 해외 금융시장 (0) 2023.07.04 [상반기 마감 시황] (0) 2023.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