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공부/주식공부
-
정채진 투자자주식 공부/주식공부 2022. 6. 21. 21:30
정채진 30분전 좋은데도 싸다 1. 주식시장이 하락하며 책상 앞에서 사업보고서를 열어보는 시간이 많이 늘어났다. 느낀 점은 ROE가 높거나 현금성자산이 시가총액 대비 큰데도, PER, PBR이 낮은 기업이 너무 많다는 것이다. 주식시장과 경제는 많은 사람들이 우려하고 있으나, 최근 많이 하락하는 것은 비쌌던 회사들이고, 장기 호황이 기대되는 조선업 같은 경우에는 여전히 괜찮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다른 저평가 기업들 역시 상대적으로 괜찮은 주가 흐름을 보이고 있다. 이리저리 살펴봐도 우리나라 주식시장에는 저평가 기업이 많은 상태고, 벤자민 그레이엄의 NET NET 전략이 통할 정도로 어처구니 없는 가격에 거래되는 기업들도 있다. 2. 2007년 2085를 찍었는데 현재 지수는 2400 이다. 미국 S&..
-
-
금리와 자산가격주식 공부/주식공부 2022. 6. 17. 21:59
22.06.16 by 신성철 자, 조금만 알아듣기 쉽게 설명을 드리겠다. 하워드막스가 금리인상으로 인한 요구수익률 상승이 나오면, 요구수익률을 맞추기 위해서 자산가격의 하락이 나온다고 말을 했는데 여기까지는 이해가 쉬울거다. (아닌가?) 자산의 수익률을 맞추는 방법은 두가지. 분자인 수익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분모인 자산의 가격을 내리는것인데. 수익의 상승은 내 마음대로 되는게 아니고 자산주인 내 마음대로 되는건 자산의 가격을 내리는것이다. 즉 금리인상이 나오면 요구수익률이 올라가고 이 요구수익률을 맞추기 위해서 자산의 가격이 내려간다. (사실은 간단히 말했는데, 각 자산에 따라 다르다. 복잡하니 이 부분은 패스.) 그런데 여기서 하워드막스가 한가지 말을 안한것이 있다. 어제의 0.75이후 폴 볼커가 소환..
-
오건영 에세이주식 공부/주식공부 2022. 6. 15. 21:02
-오건영 부부장 에세이- 내일 새벽 FOMC결과가 발표되는데요… 와.. 불과 이틀 여 만에 FOMC 분위기가 이렇게 크게 바뀐 적도 없었던 것 같습니다. 이틀 전에는 50 bp 인상이 대세였고…. 매파적으로 나온다면 75bp에 대한 으름장을 놓는 정도의 옵션을 얘기했었는데요… 이제는 75bp인상이 거의 대세인 듯 하네요. 불과 하루 만에 전망이 이렇게 크게 바뀌기도 쉽지 않은데요… 하나 더 말씀을 드리면 연말까지 금리 인상 확률을 보면 3.75%이상으로 인상할 확률이 90%에 달합니다. 3.75%이상이라는 얘기는 4%도 있다는 얘기죠.. 현재 미국 기준금리가 1%인 점을 감안하면 2.75%를 더 올려야 합니다. 5번의 FOMC에서 2.75%를 인상하려면 0.5%씩 5번을 인상해도 0.25%가 남죠. 그럼..
-
밸류체인 모음주식 공부/주식공부 2022. 6. 1. 21:36
밸류체인 모음 방산 https://blog.naver.com/mosquitokwon/222663404870 전기차와 배터리 https://blog.naver.com/mosquitokwon/222746616935 자율주행 https://blog.naver.com/mosquitokwon/222746643302 테슬라배터리 https://blog.naver.com/mosquitokwon/222746662777 폴더블부품 https://blog.naver.com/mosquitokwon/222752921165 태양광 https://blog.naver.com/mosquitokwon/222754162801 IT사이버보안 https://blog.naver.com/mosquitokwon/222754226348 2차전지 ..
-
[40대가 당부하는 30대]주식 공부/주식공부 2022. 5. 31. 23:32
부끄러움을 무릅쓰고 하는 말, 그리고 삼십대에게 하는 당부는 재미가 없습니다. 조언이라는 것은 지극히 개인적인 의견이지, 왕도가 될 수 없죠. 각자의 소신껏 사는것이 가장 옳습니다. 제가 들려드리는 이야기는 들을만한 부분만 수용하시면 좋겠습니다. 1. 어떤 회사를 다닌다고 말하지 말고, 어떤 일을 하는 사람이라고 말할 수 있어야 한다. 그것이 당신의 이름표이다. 2. 버는 돈의 금액으로 커리어를 쌓으려 말고, 존재감에 집중하라. 일하는 분야에 없어서는 안되는 사람을 목표로 해야 한다. 3. 자기 주관과 가치관을 정립하라. 휩쓸려 판단하고, 맹목적으로 따라가면, 훗날 원하는 일을 할 수 없다. 4. 사회와 경제 상황, 정치를 모든 결과의 이유로 탓하는 습관을 갖지 마라. 부조리를 비판하고 저항할 수는 있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