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황
-
10.31 키움 위클리시황/특징주 및 테마 2022. 10. 31. 07:36
[10/31, Kiwoom Weekly, 키움 전략 한지영] "11월 FOMC 영향권 진입 " ----- 한국 증시는 1) 11월 FOMC, 2) 미국의 ISM 제조업 PMI 및 비농업부문 고용, 한국 수출 등 주요 경제지표, 3) 퀄컴, 카카오, LG 화학 등 국내외 주요 기업들의 실적 이벤트 등에 영향을 받으면서 차별화 장세에 돌입할 전망(주간 코스피 예상 레인지 2,180~2,320pt) ----- 부정적인 매크로 여건으로 인해 지난주 알파벳, 아마존, 메타 등 대부분 미국 빅테크들의 실적은 이미 낮아진 기대치보다 부진한 실적을 발표했다는 점이 실적시즌을 둘러싼 경계심리를 유지시키고 있는 모습. 그러나 26일 애플(+7.6%), 인텔(+10.7%)의 주가 폭등으로 인한 미국 증시 급등에서 확인할 수..
-
11월 fomc 프리뷰시황/특징주 및 테마 2022. 10. 31. 07:02
11월 FOMC 프리뷰 및 뷰 전달 - 11월 75bp, 12월 50bp 인상이 확정시되는 분위기입니다. 이보다 더 완화적일 수 없다고 판단합니다. - 이번 FOMC에서는 큰 변화는 당장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Job opening (https://fred.stlouisfed.org/series/JTSJOL)이 내려오고 주택가격이 내려오긴 했지만 PCE 소비는 예상보다 잘 나왔고 (https://www.bea.gov/news/2022/personal-income-and-outlays-september-2022) 당장 유가도 배럴당 80불 보다는 90불에 더 가까워졌 (https://www.investing.com/commodities/crude-oil)습니다. 크게 지금의 기조에 변화를 줄 데이터는 없었..
-
위믹스 사태정리시황/특징주 및 테마 2022. 10. 30. 21:54
#WEMIX #위믹스 #위메이드 #유의종목지정 -위믹스 사태 총정리- 1. 과거 위메이드의 2000억 Wemix 매도 이 후, 공시없이 매도하지 않겠다고 밝힘 = 시장에 WEMIX 팔지 않겠다. 2. 공시를 통해서 투명성을 높이겠다고 함. 월급으로 위믹스를 사는 것은 덤. = 신뢰를 회복하겠다. 3. 메인넷과 스테이블 코인을 만들겠다고 선언. = 루나로 인해서, 알고리즘 스테이블은 못 만드니, 담보기반 스테이블을 만들어야함. 4. WEMIX를 공시 후 팔기는 부담스러우니, 렌드풀을 이용하기로 함. = 시장에 직접 매도하지 않고, 간접 매도(?)하기로함. 5. 중간 과정 생략하여 설명 : WEMIX담보로 KLAY를 대출 받음, KLAY 매도 후 USDC 마련, 이 USDC를 담보로 스테이블을 만들 계획으로..
-
위믹스 상폐여부 향후 일정시황/특징주 및 테마 2022. 10. 30. 21:52
위믹스 상폐여부 향후 일정 체킹 (feat 위메이드) ■향후 일정 -유의 종목 지정(10/27일) 후 2주일 간 최종 거래 지원 종료 여부를 판단 -소명 절차 및 검토 과정에서 유의 종목 지정 검토 기간이 연장될 수 있으며, 검토 기간의 연장이 있을 시 재공지 -해당 검토 기간 동안 유의 종목 지정 사유가 완벽히 소명되지 않을 경우, 업비트는 별도의 공지를 통해 거래 지원 종료에 대한 안내를 진행할 예정. ■업비트 위믹스 거래지원종료 여부 재공지 (11/10일 전후)★★★ 1)거래지원 종료 공지시 -거래지원종료가 될 경우 향후 국내거래소에서는 위믹스 거래가 불가능 -거래지원종료 공지 나올시 추가 하락 가능↘️. 예전에도 공지와함께 바로 하락. -실제 거래지원 종료는 공지후 10여일뒤. 이 기간동안 해외 ..
-
퀀트시황/특징주 및 테마 2022. 10. 30. 20:07
주간 퀀트 코멘트입니다(22.10.30 하나증권 퀀트 이경수) ⚡️한국의 내년 실적 전망치는 하향폭이 큽니다(최근 3개월 기준 -17%) 디스플레이, 반도체, 증권, 가전, 미디어와서비스(네&카 등), 해운, 건설, 철강 등 순서로 하향폭이 강력합니다 반면 조선, 전기제품(2차전지), 호텔레저, 방산, 손보, 자동차부품, 보험, 기계, 상사 등 순서로 상향되고 있습니다 실적에 민감한 외인들이지만 오히려 국내증시에 10월 한 달동안 +2.7조원을 순매수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과연 무슨 의미일까요? 10월 외인들의 업종별 순매수 상위를 보면 방산, 항공, 음식료, 전기제품(2차전지) 등에 순매수 강도가 가장 컸습니다 모두 컨센서스 상향 업종이지요 여기까지보면 외인은 실적을 중요시 여기는 것은 맞아 보입니다 ..
-
퀀트 주간 이익 동향 11월 1주차시황/특징주 및 테마 2022. 10. 30. 17:28
[미래에셋증권 퀀트 유명간] 주간 이익동향 (11월 1주차) ★ Summary ★ [글로벌] 한국/영국/홍콩 이익전망치 하향 조정 폭 확대 [한국] 23년 영업이익 하향 조정 지속. 디스플레이/반도체/IT하드웨어/건설 등 ■ 글로벌 이익동향(MSCI, 12MF EPS) * 전세계 EPS 변화율(1M) : -1.3%(DM: -1.1% > EM: -2.5%) * 컨센서스 상향 국가(1M) : 인도네시아(+1.7%) * 컨센서스 하향 국가(1M) : 한국(-9.5%), 영국(-5.9%), 홍콩(-2.8%), 미국(-2.3%) 등 * 컨센서스 상향 업종(1M, DM+EM) : 에너지(+1.0%), 필수소비재(+0.8%), 유틸리티(+0.6%) * 컨센서스 하향 업종(1M, DM+EM) : 소재(-4.0%), 커..
-
해외증시시황/특징주 및 테마 2022. 10. 30. 15:26
10/31 [미래에셋증권] 해외 금융시장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 (02-3774-1621) ◆ 미국 증시 - DOW: 32,861.80p (+828.52p, +2.59%) - S&P500: 3,901.06p (+93.76p, +2.46%) - NASDAQ: 11,102.45p (+309.78p, +2.87%) - 러셀2000: 1,846.92p (+40.60p, +2.25%)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51.82 (+0.32, +0.62%) - MSCI 이머징지수 ETF: $34.29 (-0.21, -0.61%) - Eurex kospi 200: 299.35p (+3.55p, 1.2%) - NDF 환율(1개월물): 1,421.82원 / 전일 대비 1원 하락 출발 예상 - 필라델피아 반..
-
주간 미국시장 주요 일정시황/특징주 및 테마 2022. 10. 30. 15:11
🔶️ 주간(10월 31~11월 4일) 미국 주식시장 주요 일정 △31일(월) -래티스 세미컨덕터, NXP세미컨덕터, 에이비스 버짓, 스트라이커, 램버스, IMAX, 굿이어타이어, 온세미컨턱터, XPO로지스틱스, 프라이스스마트, 매리엇베케이션스, 어메리칸워터웍스, 로우스 실적 발표 -10월 시카고 연방준비은행 구매관리자지수(PMI) -10월 댈러스 연은 제조업지수 △1일(화) -AMD, 화이자, 일라이일리, 에어비앤비, 우버, 클로록스, 일렉트릭 아츠, 퍼블릭스토리지, 데니스, 데본에너지, 에디슨인터내셔널, 몬델레즈, 시저스 엔터테인먼트, 사이먼 프로퍼티그룹, 폭스코프, 도요타, BP, 소니, 가트너, 마라론 페트롤리엄, 체사피크에너지, 리버티글로벌, 헬스피크 프로퍼티즈, 프루덴셜파이낸셜, 매치그룹 실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