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7 글로벌 금융시장 동향시황/시황 2024. 2. 7. 08:21728x90반응형
미래에셋증권 서상영/김석환:
2/7 글로벌 금융시장 동향
미래에셋증권 디지털리서치팀 김석환(02-3774-6049)
◆ 미국 증시
- DOW: 38,521.36p (+141.24p, +0.37%)
- S&P500: 4,954.23p (+11.42p, +0.23%)
- NASDAQ: 15,609.00p (+11.32p, +0.07%)
- 러셀2000: 1,953.63p (+16.39p, +0.85%)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62.18 (+0.05, +0.08%)
- MSCI 이머징지수 ETF: $39.58 (+0.88, +2.27%)
- Eurex kospi 200: 347.90p (-0.15p, -0.04%)
- NDF 환율(1개월물): 1,325.20원 / 전일 대비 3원 하락 출발 예상
- 필라델피아 반도체: 4,338.27 (-49.83, -1.14%)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104.175 (-0.277, -0.27%)
- 유로/달러: 1.0754 (+0.0011, +0.10%)
- 달러/엔: 147.90 (-0.78, +0.53%)
- 파운드/달러: 1.2598 (+0.0062, +0.49%)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4.3952% (-7.7bp)
- 5년물: 4.0330% (-8.6bp)
- 10년물: 4.0866% (-7.1bp)
- 30년물: 4.2917% (-4.5bp)
- 10Y-2Y: -30.86bp (0.57bp 역전 축소)
(국채선물)
- 2YR T-Notes: 102*14 3/4 (+0*04 1/4, +0.13%)
- 5YR T-Notes: 107*20 1/2 (+0*11 3/4, +0.34%)
- 10YR T-Notes: 111*09 (+0*17 1/2, +0.49%)
- US T-Bonds: 121*00 (+0*29 , +0.75%)
- Ultra US T-Bonds: 127*15 (+1*4 , +0.89%)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73.31 (+0.71, +0.98%)
- 브렌트유: 78.59 (+0.71, +0.91%)
- 금: 2,051.40 (+8.90, +0.44%)
- 은: 22.48 (+0.08, +0.35%)
- 아연(LME, 3M): 2,432.50 (+12.50, +0.52%)
- 구리: 378.10 (+1.15, +0.30%)
- 옥수수: 438.75 (-4.50, -1.02%)
- 밀: 595.00 (+4.75, +0.80%)
- 대두: 1,199.50 (+3.50, +0.29%)
*동 자료는 2024년 2월 7일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를 요약한 것입니다.
2/7 미 증시, 긍정적 기업 실적에 상승 마감
미래에셋증권 디지털리서치팀 김석환(02-3774-6049)
# Key Takeaways
- 닐 카시카리(미니애폴리스), 로레타 메스터(클리블랜드) 연은 총재 ‘신중한’ 금리인하 강조
- 뉴욕 연은, 美 가계부채 사상 최고인 17조 5,000억 달러 기록
- 쟈넷 옐런 재무장관, 상업용 부동산에 대한 우려 표명
# 변화요인
미 증시는 기업들의 긍정적 실적에 주목하며 상승 마감. S&P 500 기업의 약 51%가 실적발표를 한 가운데 약 79%의 기업들이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 이익성장률은 어닝시즌 직전 전년대비 1.2% 증가를 크게 상회한 5.6%에 달해. 이 날 발언에 나선 카시카리, 메스터 등 연은 총재는 신중한 금리인하를 강조. 다만, 옐런 재무장관이 상업용 부동산 시장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자 뉴욕 커뮤니티 뱅코프는 22% 넘게 급락. 미 국채수익률과 달러는 소폭 하락. (다우 +0.4%, 나스닥 +0.1%, S&P500 +0.2%, 러셀2000 +0.9%)
https://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40207064349530_3533
# 특징종목
팔란티어(PLTR, +31%)는 시장 예상을 상회한 실적과 견조한 AI 수요에 힘입어 시장 기대에 부합한 가이던스를 제공하며 급등. 스포티파이(SPOT, +3.9%)는 지난 분기에 유료 프리미엄 가입자 수가 15% 늘고 손실 규모가 줄었다는 소식에 상승. GE헬스케어테크 (GEHC, +12%)는 시장 예상을 상회한 실적을 발표한 후 급등하였고 듀폰(DD, +7.4%)은 호실적과 10억 달러 규모의 자사주 매입 계획에 상승. 브리티시페트롤륨(BP, +6.3%)은 시장 예상보다 나은 실적을 발표했으나 연간으로는 전년대비 둔화. 그러나 올해 상반기 35억 달러 규모의 자사주 매입과 배당금 상향 소식에 강세. 도요타(TM, +7.8%)는 하이브리드 전기차 판매 급증에 힘입어 회계연도(3월결산)에 대한 실적 전망치를 상향. 반면, UBS그룹(UBS, -5.5%)은 크레딧스위스 은행 인수에 따른 비용 증가로 2분기 연속 순손실 기록하며 하락. 뉴욕커뮤니티뱅코프(NYCB, -22%)는 옐런 재무장관의 상업용부동산 시장 우려 표명에 재차 급락. 중국 증시 급등에 힘입어 나스닥 골든 차이나 지수(HXC)가 5% 넘게 상승한 가운데 비리비리(BILI, +12%), 니오(NIO, +12%) 등 큰 폭 상승.
# 채권, 외환 및 상품 동향
최근 이틀동안 급등했던 미 국채수익률은 금일 소폭 하락. 달러인덱스는 유로화 강세 속에 소폭 하락. 유로화는 독일의 12월 공장주 문이 시장 예상을 크게 상회하는 등 견조한 지표 속에 ECB의 연내 금리인하 기대감이 지연된 영향으로 강세 기록. 특히, 시장 참여자들은 ECB가 올해 160bp 정도 인하할 것으로 전망했으나 현재는 125bp까지 기대가 낮아진 상황. 국제유가는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지정학적 긴장감 완화 소식과 석유 수요가 증가할 것이란 에너지정보청(eia) 전망을 소화하며 전일대비 소폭 상승. 미국 천연가스 선물가격은 9개월래 최저치인 MMBtu당 2달러를 하회하였는데 이는 수요 전망 약화, 국내공급 증가 등의 영향 때문.
# 한국증시전망
MSCI 한국 지수 ETF는 0.1%, MSCI 신흥 지수 ETF는 2.3% 상승.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325원으로 이를 반영한 달러/원 환율은 3원 하락 출발 예상. Eurex KOSPI200 선물은 0.04% 하락. KOSPI는 보합권에서 출발 예상. 올해 들어 국내 기관들은 약 7조 3,420억원의 순매도를 기록하며 증시 하락을 견인하는 모습. 업종별로는 반도체 4조 7,110억원으로 매도 규모가 크지만 은행(+2,140억원), 상사/자본재(+1,480), 증권(+980) 등 정부 정책 수혜가 예상되는 일부를 제외하곤 대부분의 업종에서 매도우위의 모습을 보이고 있음. 특히, 연초이후 수익률 하락 Top 3 업종은 IT가전(-15.5%), 화학(-12.1), 철강(-10.8%)으로 이는 2차전지 하락 영향이 컸기 때문. 또한 이들 업종에 대한 외국인과 기관의 동시 순매도가 꽤 큰 규모로 지속되는 중. 1차적으로 증시 하락 분위기가 진정되기 위해서는 기관의 지속적인 매도세가 일단락되는 게 중요하다고 판단.반응형'시황 >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2월 26일 매크로 데일리 (1) 2024.02.26 🤩마크 미너비니 시장 코멘트 (0) 2024.02.15 🤩2월 1주차 증시일정 (0) 2024.02.04 2월 05(월) ~ 2월 09 (금) 주간 일정 (0) 2024.02.04 주간 이익동향 (2월 2주차) (0) 2024.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