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28x90반응형
표적항암제 ABN401의 한국/호주 제1-2상 임상시험 결과
2. 주요내용 ※ 투자유의사항
- 임상시험 약물이 의약품으로 최종 허가받을 확률은 통계적으로 약 10% 수준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임상시험, 품목허가 과정에서 기대에 상응하지 못하는 결과가 발생할 수 있으며, 상업화 계획을 변경하거나 포기할 수 있는 가능성이 상존합니다.
- 투자자는 수시공시 및 사업보고서 등을 통해 공시된 투자 위험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신중히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1. 임상시험의 제목
- 진행성 고형 종양 환자에서 ABN401의 안전성, 약동학, 약력학 및 항종양 활성을 평가하는 제 1-2상, 다기관, 공개, 용량 증량 및 용량 확장 임상시험
[A Phase 1-2 Multicenter, Open-Label, Dose-Escalation and Dose-Expansion Study to Evaluate the Safety, Pharmacokinetics, Pharmacodynamics, And Antitumor Activity of ABN401 in Patients with Advanced Solid Tumors]
2. 임상시험 단계
- 제1상 임상시험의 용량 증량시험
3. 대상질환명 (적응증)
- 진행성 고형암
4. 임상시험 신청일 및 승인기관
- 신청일:2019년 5월 20일
- 승인일:2019년 7월 29일
- 임상승인 기관: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 (MFDS)
호주 연방의료제품청
(TGA)
- 임상시험 기관:
한국: 국립암센터, 연세대학교 의료원, 서울아산병원
호주: ST George Private Hospital, Syd ney Southwest Private Hospital, Scien tia Clinical Research, Linear Clinica l Research
5. 임상시험 등록번호
- NCT04052971
미국 임상등록 사이트(clinicaltrials.gov)에서 임상시험 진행경과 확인 가능
6. 임상시험 진행 경과: - 임상시험의 목적
진행성 고형암을 가진 환자에게 ABN401의 안전성 및 내약성을 평가하기 위함
- 임상시험기간
최초 환자 등록일: 2019년 10월 16일
마지막 시험대상자 완료일: 2021년 11월 24일
- 임상시험 시행 방법: 다기관, 공개
- 임상시험 방법:
단일 용량 코호트이며, 코호트 별로 기본 1명(50mg, 100mg) 또는 3명(200mg 이상)부터 시작해 이상반응 있을 시, 6명까지 확장되는 3+3 디자인
7. 임상시험 결과
- 용량 50mg, 100mg, 200mg, 400mg, 800mg, 1,200mg까지의 용량증량 시험에서 ABN401에 관련된 grade3 이상의 이상 반응 없음
- ABN401의 우수한 안전성과 내약성을 확인하여 임상1상시험의 목적을 달성
- 경쟁 약물들의 임상 1상시험 데이터 대비 우위에 있는 안전성을 확인하였으며, 유효성 데이터도 확보
8. 기대효과
- 본 용량 증량시험은 c-MET 변이 유무와 관계없는 모든 고형암 환자(all comers)를 대상으로 안전성뿐만 아니라 유효성 데이터도 확인되어, 본 임상시험으로 도출된 적절한 용량을 통한 임상 2상이 수월하게 진행될 것으로 기대
9. 향후 계획
- 본 임상 1상시험의 최종 데이터를 오는 6월 열리는 '미국 임상종양학회(ASCO 2022)'에서 발표하고 사업개발 등에 적극 활용할 계획
- 비소세포폐암에서 c-MET exon14 결실군을 대상으로 약물의 유효성을 평가하는 임상 2상시험이 미국, 한국에서 현재 진행중
- 이후 순차적으로 MET 증폭군, c-MET 과발현군 및 기타 고형암을 대상으로 약물의 유효성을 검증할 예정이며, 타 항암제와의 병용임상도 계획 중
- 최우선 적응증인 비소세포폐암 외에 다른 고형암종으로의 적응증 확장을 실시할 계획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20517900263반응형'주식 >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영덕 씨티씨바이오 사장 "세계 최고 필름제제 기술로 퀀텀점프 자신" (0) 2022.05.19 액트로 (0) 2022.05.18 5.17 특징주 (0) 2022.05.17 5.17 오늘의 주도섹터 (0) 2022.05.17 5.17일 뉴스 브리핑 (0) 2022.05.17